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고급특수 문자도움말문단 제목2단계3단계4단계5단계형식넣기라틴 문자확장 라틴 문자IPA 문자기호그리스 문자그리스어 확장키릴 문자아랍 문자아랍어 확장히브리 문자뱅골어타밀어텔루구어 문자싱할라 문자데바나가리어구자라트 문자태국어라오어크메르어캐나다 원주민 언어룬 문자ÁáÀàÂâÄäÃãǍǎĀāĂ㥹ÅåĆćĈĉÇçČčĊċĐđĎďÉéÈèÊêËëĚěĒēĔĕĖėĘęĜĝĢģĞğĠġĤĥĦħÍíÌìÎîÏïĨĩǏǐĪīĬĭİıĮįĴĵĶķĹĺĻļĽľŁłŃńÑñŅņŇňÓóÒòÔôÖöÕõǑǒŌōŎŏǪǫŐőŔŕŖŗŘřŚśŜŝŞşŠšȘșȚțŤťÚúÙùÛûÜüŨũŮůǓǔŪūǖǘǚǜŬŭŲųŰűŴŵÝýŶŷŸÿȲȳŹźŽžŻżÆæǢǣØøŒœßÐðÞþƏə서식 지정링크문단 제목목록파일각주토론설명입력하는 내용문서에 나오는 결과기울임꼴''기울인 글씨''기울인 글씨굵게'''굵은 글씨'''굵은 글씨굵고 기울인 글씨'''''굵고 기울인 글씨'''''굵고 기울인 글씨== 어원 == [[영어]]로 '공화국'(republic)는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의 '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에서 나왔다.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했다. [[한자 문화권]]에서 쓰는 번역어 ‘공화(共和)’는 {{임시링크|미쓰쿠리 쇼고|ja|箕作省吾}}의 《[[곤여도식]](坤輿図識)》(1845)에서 republic의 번역어로 처음 쓰였다. ‘공화(共和)’란 말은 [[주나라 ]] 때의 [[서주 여왕#공화|공화시대]]에서 따왔다. 《[[사기 (역사서)|사기]]》에 따르면 당시 반란으로 왕좌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제후들이 추대한 사람이 왕 대신 나라를 다스렸다고 한다.<ref>http://weekly1.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6/09/2009060900964.html {{웨이백|url=http://weekly1.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6/09/2009060900964.html |date=20180414090243 }} republic과 공화제(共和制)]</ref>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분류: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분류:한국 한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