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연혁== * 2007년 6월 1일 : 동탄 2지구 신도시 개발 계획 발표 * 2007년 7월 1일 : 경기남부 광역교통망 구상 연구 착수 및 동탄-강남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타당성 검토 * 2008년 8월 1일 : 동림컨설턴트 컨소시엄, 킨텍스~삼성구간 제안 (광역도심지하철도 : 37.86km 6개역) * 2008년 12월 1일 : 국토해양부, 2009년 업무계획에 대심도 급행철도 반영 * 2009년 4월 1일 : 경기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제성 및 기술성 검토용역결과 발표 *: A노선 : 일산 킨텍스 ~ 동탄<br />B노선 : 청량리 ~ 인천 송도<br />C노선 : 의정부 ~ 금정 * 2009년 6월 1일 : 국토해양부, 타당성 조사 연구 착수 * 2011년 4월 1일 : 국토해양부,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시행중 사업에 포함 * 2011년 11월 1일 : 기획재정부, 201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 2011년 12월 1일 : 국토해양부,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 광역철도로 신규 지정 * 2013년 2월 1일 : [[박근혜 정부]] 인수위원회 140개 국정과제에 GTX 반영 * 2014년 2월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통보에 따라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3개 노선을 확정하고 추진 개시 * 2014년 9월 : A노선(킨텍스~삼성~동탄) 민간사업자의 노선 제안 * 2016년 6월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21년 6월 29일 : 국토교통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D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 확정 및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TemplateStyles 오류가 있는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