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한국 농촌의 의·식·주== 의·식·주의 생활양식은 가장 기본적인 문화의 공통분모로서 모든 사람이 일상의 관심을 갖는 문화이다. 따라서 생활의식과 가장 깊은 관계를 갖는 문화인 것이다. 또 의·식·주의 생활양식은 사회적 지위와 계급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의·식·주에 나타나는 문화의 특질은 그 사회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조건 및 경제상태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의복의 기능은 추위와 더위를 막고 살갗을 보호하기 위한 생리적 기능과 자기 미화의 본능에서 생긴 심미적(審美的) 기능, 악신을 쫓고 선신을 기쁘게 해주는 주술종교적 기능, 치부를 엄폐하고 체면을 존중하기 위한 도덕적 기능, 계급과 지위 및 성별·연령·직업상의 지위를 상징하기 위한 상징적 기능에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도시에 비하여 한국의 농촌에서의 농민들의 복식(服飾)은 사회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거의 동질적이며 계급적인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의복의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한 모방성도 강하지 못하고, 머리의 모양도 구태의연한 채로 새로운 유행에 민감하지 않고 재래 한국의 민간 고유문화와 전통을 그대로 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농민의 의생활은 사치와 모방, 유행, 도덕적 기능보다도 생활의 효용성을 우선한다. 특히 과거의 유교문화에 바탕을 두었던 예복(사모 관대·족두리 등)과 변발(▩髮)·상투 등은 깊은 산간촌락이나 도서지방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진 상태에 있다.도시에 비하여 한국 농촌의 음식물은 거의 자급적이며 가공품이 비교적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식생활의 행동양식 중에서 특히 식사 때의 좌석은 한국 농촌의 권위와 결부된 가족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조부모와 부모, 자녀들로 구성된 가족에서 볼 때 조부는 외상을 받거나 부(父)와 겸상하고, 조모는 장손(長孫)과 겸상하며 모(母)와 다른 자녀들이 모두 함께 겸상하거나 방바닥에 놓고 먹는다. 명절과 생일·혼인·환갑·제사 때의 회식은 농촌에 있어서는 친척과 이웃사람·마을사람들이 음식을 나눠 먹는 계기가 되며 이런 기회에 서로 청하고 대접을 받으며 상호의 증여(贈與)행위가 이루어져서 공동체 의식을 더욱 두텁게 한다.가옥의 형태와 건물의 배치는 지역에 따라서 다양하다. 한국 민가의 가옥구조를 두 가지로 크게 분류해 볼 때, 한국의 일반형은 대지의 제한을 받고 형성된 민가로서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각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ㄱㄷㅁ二 자 형(型)이 이에 속하며, 북부형은 대지의 제한을 받지 않고 독립하여 발생한 민가로 한국의 북부와 동해안 특히 산간지대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田目형(型)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시에 비해서 농촌의 가옥은 대지의 제한을 덜 받기 때문에 그 구조가 덜 복잡한 것이 특징이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