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역사와 문화 == 나병은 수천 년 동안 인간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ref name=Aka2012/> 나병을 의미하는 서양 표현들은 "비늘"이라는 뜻의 [[라틴어]] 낱말 "레프라"({{lang|la|''lepra''}})를 그 어원으로 삼고 있다. 동양의 ‘나(癩)’라는 표현 역시 [[두꺼비]]를 ‘나흘마(癩疙痲)’라고도 부른 데서 보듯 이와 유사한 의미를 담고 있다. 한센병이라는 이름은 1873년 병원균을 발견한<ref name="국립보건연구원" /> 노르웨이의 의학자 [[게르하르 아르메우에르 한센]]의 이름을 딴 것이다.<ref name=Aka2012>{{저널 인용| author = Suzuki K, Akama T, Kawashima A, Yoshihara A, Yotsu RR, Ishii N | title = Current status of leprosy: epidemiology, basic science and clinical perspectives. | journal = The Journal of dermatology | volume = 39 | issue = 2 | pages = 121–9 | date = February 2012 | pmid = 21973237 | doi = 10.1111/j.1346-8138.2011.01370.x }}</ref> [[인도]],<ref name=Leprosy>{{뉴스 인용| url=http://news.bbc.co.uk/2/hi/programmes/from_our_own_correspondent/6510503.stm | author=Walsh F |title=The hidden suffering of India's lepers |publisher=BBC News |date=2007-03-31}}</ref> [[중국]],<ref>{{뉴스 인용 |url=http://www.iol.co.za/index.php?set_id=1&click_id=117&art_id=qw1158139440409B243 |title=Ignorance breeds leper colonies in China |author=Lyn TE |publisher=Independat News & Media |date=2006-09-13 |accessdate=2010-01-31 |archive-date=2010-04-0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408075048/http://www.iol.co.za/index.php?set_id=1&click_id=117&art_id=qw1158139440409B243 |url-status=dead }}</ref> 아프리카<ref name=Byr2008>{{서적 인용|last=Byrne|first=Joseph P.|title=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year=2008|publisher=Greenwood Press|location=Westport, Conn.[u.a.]|isbn=9780313341021|page=351|url=http://books.google.ca/books?id=5Pvi-ksuKFIC&pg=PA351|확인날짜=2015-08-1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23031928/http://books.google.ca/books?id=5Pvi-ksuKFIC&pg=PA351|보존날짜=2014-02-23|url-status=dead}}</ref> 등 세계 곳곳에서 아직도 환자들이 사회 일반에서 격리, 소외되어 살아가는 [[나환자촌]]이 존재한다. 그러나 나병의 전염성이 강력하지 않음이 밝혀지고 나서 이러한 격리현상은 줄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나병을 문둥병, 나환자를 문둥이({{lang|en|leper}})라고 삿되게 이르는 일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그러한 표현은 환자의 인격에 대한 침해로 간주되고 있다.<ref name="국립보건연구원" /> 일각에서는 나환자라는 표현도 공격적이라고 생각하고 “한센병 감염자, 나병 감염자(persons affected with leprosy)”라는 표현을 선호하기도 한다.<ref>{{서적 인용|last1=editors|first1=Enrico Nunzi, Cesare Massone,|title=Leprosy a practical guide|date=2012|publisher=Springer|location=Milan|isbn=9788847023765|page=326|url=https://books.google.ca/books?id=ZQ2k0xgIph4C&pg=PA326}}</ref> 1954년부터 환자들에 대한 관심을 호소하기 위해 매년 1월 마지막 일요일을 [[세계 나병의 날]]로 지정하여 알리고 있다.<ref>{{서적 인용|last=McMenamin|first=Dorothy|title=Leprosy and stigma in the South Pacific : a region-by-region history with first person accounts|year=2011|publisher=McFarland|location=Jefferson, N.C.|isbn=9780786463237|page=17|url=http://books.google.ca/books?id=lZPvQTJ8SE0C&pg=PA17}}</ref>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4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CS1 관리 - 여러 이름 분류: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분류:스크립트 오류가 있는 문서 분류: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