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특징== ===대심도 지하노선===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어 기존에 건설된 지상 철도 노선들을 지하로 집어넣어 달라는 민원이 빗발치는 수도권의 막대한 토지보상비용을 생각한다면 지상 노선은 애초에 현실성이 없다. 또한 이미 서울 도심 지하는 1기, 2기 지하철이 구축되어 복잡한 상황이기 때문에 서울 도심에 진입하는 신선은 필수적으로 대심도 지하화 외에는 답이 없다. 대심도 건설이 필수적이라 높은 건설비가 소요되므로 [[민간투자사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민간기업 [[컨소시엄]]이 노선 건설 및 운영권을 가져가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운행속도 및 차량=== || [youtube(muhapV79ke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차량 목업|| 급행철도라는 이름에 걸맞게 정차역도 주요 환승거점만 이어주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표정속도]]는 현행 수도권 전철들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계획되었으며 평균 표정속도는 100 Km/h 수준을 유지하도록 건설된다. 또한 최고속도 역시 180 Km/h 수준으로 책정하였다. 표정속도 및 최고속도 등을 감안하면 동력분산식 준고속 이상의 스펙 차량이 투입될 예정<ref>[[EMU-250]]급 스펙의 열차가 유력한다.</ref>이며, 차량은 8량 1편성으로 계획되었다. 궤간은 표준궤, 전기방식은 교류 25 kV이며 모든 신설 노선은 복선으로 건설된다. 좌석은 수도권 전철 전동차와 유사한 크로스시트를 적용하여 많은 승객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운임=== [[경기도]]에서 제시하는 요금은 전 구간 3,000 원 수준의 정액요금이며,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10 km까지는 기본요금인 1,800원을 징수하고 이후 1Km 당 40원의 거리비례 요금제를 제시하였다. 신설노선 대부분이 민간자본투자로 건설될 예정이라서 경기도의 안건보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안건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TemplateStyles 오류가 있는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