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사이리스터 계열 === [[사이리스터]]의 특성은 대전력의 스위칭 제어에 비교적 적합했던지라 나름 대형이라 대전력제어로 보는 철도차량에는 초창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기본적으로 사이리스터는 단독으로는 켤 수는 있지만 끌 수 없어 스위칭을 위해서는 끄는 회로가 추가되어야 한다. 보통은 역방 전류가 들어오는 것으로 스위칭이 동작되는 원리를 사용하며, 대개는 사이리스터가 병렬 배치된 인버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는 [[트랜지스터]]도 대전력 스위칭 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트랜지스터에 자리를 넘겨준 상태며, 사이리스터 계열은 소음 문제라든지 효율성 문제에서 트랜지스터에 비해 단점이 커 2010년대 들어서는 신규 채용은 거의 없으며, 있는 인버터들도 트랜지스터 계열로 대부분 교체되고 있다. 사이리스터 계열을 채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변조 소음이 크게 들리게 된다. 이는 스위칭 간격이 길기 때문에 발생되는 발생되는 주파수가 낮을 뿐만 아니라 튀는 전력이 커서 크게 들리기 때문이다. 변조파, 반송파를 변조음과 맞춰 분석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 사이리스터를 사용하면 변조파 주파수와 반송파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는 비동기 구간이 짧아지게 되며(대략 변조파 주파수 30 Hz대 이하), 반대로 동기 구간이 길어지게 된다. # 동기 구간에 들어가면 반송파는 펄스가 된다. 이 때 발생하는 실질 주파수는 변조파 주파수에 반송파의 펄스 수를 곱한만큼이 되는데, 사이리스터 계열은 이 펄스 수의 변동이 심한 편이다. # 그런데 동기 구간이 길어도 초반 펄스가 촘촘한 편이라 발생되는 주파수가 잘 들리는 영역에 들어가게 된다. 후기에 들어서는 동기 단수를 크게 늘리고 효율을 좋게 하여 소음이 많이 저감된 편이기는 했다. 그러나 그 정도도 트랜지스터보다 시끄러웠다는게 문제지만. * '''역방향 유도 사이리스터''' (RCT; Reverse Conducting Thyristor) *: 역방향 다이오드가 들어간 사이리스터로, 이 때문에 역방향 전류 차단이 불가능하다. 제작은 쉬운데 효율이 썩 좋지는 않은 편이며 철도차량의 인버터 제어가 태동할 무렵에 주로 사용되었던 소자이다. * '''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 (GTO; Gate Turn-off Thyristor) *: 게이트에 걸리는 전위의 음양에 따라 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이리스터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던 소자이다. * '''통합 게이트 정류 사이리스터''' (IGCT; Integrated Gate-commutated Thyristor) *: GTO의 구조를 개선하여 턴오프 전류를 어노드 전류보다 크도록 키웠으며, 이를 통해 스위칭 간격의 단축을 실현한 신형 소자다. [[ABB]]와 [[미츠비시]]에서 연합해 개발했지만 정작 이 시기 대전력 스위칭 제어가 가능해진 트랜지스터에 밀려 [[HSR-350X]]에서 시험 채용해 본 것 이외에는 철도차량에선 사용되지 않았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