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총체성(Totalität) === {{인용문2|총체성의 유물변증법적 개념은 무엇보다도 먼저 상호작용하는 모순의 구체적인 통일을 의미한다. … 두 번째로, 모든 총체성의 체계적인 상대성 문제이다.(모든 총체성은 그것에 종속된 총체성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문제의 총체성은 좀 더 높은 단계의 복잡성을 갖는 총체성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모든 총체성의 역사적인 상대성을 의미하는 바, 즉 모든 총체성의 전체적인 성질은 변화하고 분열하며, 구체적인 역사의 시점에 의해서 제약된다.|게오르크 루카치}} 루카치의 철학의 핵심을 관통하는 개념인 '''총체성'''은 예술 뿐만 아니라 인간의 특성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총체성은 거시성을 추구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다. 그러한 총체성은 자본주의로 인하여 붕괴되었다. 루카치는 자본주의의 분업성을 그 예시로 들었는데, 그는 분업을 "진보의 모순성"이라고 분석해낸다. 우선 분업은 일단 인간의 전체성(Ganzheit)를 확장시키고 풍부하게 만드는 능력을 인간 속에서 일깨우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분업은 전체적으로 인간을 풍요롭게 만들지언정 개개로서의 인간을 하찮게 만든다. 그리하여 분업은 총체성을 갖춰야할 예술을 일면적으로 편협하게 만들었다. 루카치에 의하면, 분업에 의한 미학의 변질은 "직접적인 현시 기법의 아틀리에적 문제"이자, "문학에 울타리를 치는 것"으로, 예술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들을 한정짓고, 상품화한다. 또한,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식인은 일개 글쓰기 전문가로 전락하게 되며, 아틀리에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전문가들은 자본주의적 분업의 악효과를 재생산하는 역할을 맡는다. 마지막으로 문화와 예술은 보편적 상품화가 되어, 예술이 가지고 있는 최후의 숭고함마저 가격으로 환산되어 순수 예술이 존재할 수 없게 된다. 그에 대항하는 '''총체성'''의 개념은, 예술이 추구하고자 하는 범위에 제한을 두지 말고, 지식인이 소설, 문예 비평 등 여러 형식을 통해 자신의 지배적 실존 구성을 재구성하는 역할을 맡는 등, 전반적인 거시성을 추구하는 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