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한국 농촌에 있어서의 협동== 한국 농촌에는 개인과 가족·친족 및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여러 가지 계(契)나 증여(贈與)·두레·품앗이 등의 협동관계와 집단들이 많다. 전통적 농업·어업에서 사람들이 협동생활을 하는 것은 그들이 집단활동을 즐겨하기 때문만은 아니고 협동노동을 통해서 경제생활을 더 효과적으로 영위할 수 있고, 한 사람에게 주는 부조(扶助)는 자기가 필요할 때 그 사람한테서 되돌려 받을 수 있는 답례의 부조의무를 지우게 되기 때문이다. ===계=== {{본문|계}} 하나의 사회조직으로서 계의 형태·기능을 보는 것은 농촌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의 계의 성격에는 마을의 성격이 그대로 반영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어, 계의 형태와 기능의 변모는 농촌의 사회와 문화의 변질을 보는데 좋은 지표가 된다. 옛날에는 마을 전체가 계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계의 성격에는 다분히 지역적 연대와 전통주의 및 도의적인 성격이 농후하였다. 현재에도 한국 농촌에는 동계(洞契)와 종계(宗契)·산림계(山林契)·성황계(城隍契)·혼인계(婚姻契)·회갑계(回甲契)·위친계(爲親契)·상포계(喪布契), 기타 돈계와 오락 친목을 위한 여러 가지 계조직이 있다. 이들 계의 주요 기능은 농민들이 일시에 큰 돈을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마을의 큰 행사나 문중행사·부락제·혼인·환갑·초상을 당할 때 계원끼리 물질적으로나 노력으로 상호부조하며 친목을 도모하는 것이다. 물론 계의 형태를 취하지 않더라도 첫돌과 혼인·환갑·장사·제사에는 가까운 친척과 친지, 마을사람들간에 돈과 음식·기념품·노력(勞力) 등을 증여의 형식으로 주고 받는 일이 허다하다. 이러한 협동생활은 도시보다 농촌에서 훨씬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공동체의식도 더욱 공고(鞏固)하게 된다. ===품앗이=== {{본문|품앗이}} 품앗이는 노임(勞賃)을 주지 않는 1대 1의 교환노동 관습이다. 대개 마을을 단위로 해서 이루어지는데 노력(勞力)이 부족할 때 수시로 이웃 사람에게 요청하며 그들로부터 받은 품에 대해서는 일을 해서 갚는다. 또 품앗이는 완전히 개인적인 몇몇 사람들간의 교환노동으로 서로의 신뢰를 전제로 하고 노동가치를 동등하게 인정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이루어진다. 품앗이로 하는 일은 농사를 비롯해서 퇴비(堆肥)·연료장만·벼베기와 같은 남자들이 하는 일 뿐만 아니라 큰일에 음식을 장만하고 옷을 만드는 여자들의 일도 포함된다. ===두레=== {{본문|두레}} 두레는 마을의 모든 농민이 그 마을의 경작지에 대해 자타의 구별 없이 일제히 조직적으로 집단 작업을 하는 조직이며, 각 집의 경지 면적과 노동력에 따라서 나중에 임금을 결산하여 주고 받는 공동 노동의 형태이다. 이와 같이 협업(協業)의 성격을 띤 공동 노동은 한국에서 장기간에 걸쳐 농촌 경제를 지배해 왔던 노동 조직이었다. 한국의 고대사회에서는 이러한 두레가 대내적으로는 노동 단체·예배 단체·도의 단체·유흥 단체의 의의를 가졌었으며, 한편 대외적으로는 군사 단체로 동지동업(同志同業)의 순수한 결사의 뜻을 가졌었다. 그것이 오늘날에는 농촌의 민간에만 잔존하여 여러 가지 민간 협동체를 파생시킨 것이다. 두레는 또한 공동 노동 조직임과 동시에 일종의 오락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마을의 농악대(農樂隊)와 그들의 농악 연주 및 무악(舞樂)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두레와 농악 및 공동 노동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 같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