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한국 농촌에 있어서의 신앙과 의례== 한국 농민의 신앙과 의례생활을 개인·가족·마을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첫째로 개인을 중심으로 한 신앙과 의례는 출생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그의 생애를 통하여 직면하게 되는 위기에 거행하는 통과의례 및 그와 관련된 신앙을 들 수 있다. 임신과 출산에는 삼신(三神)과 금줄의 신앙이 결부되며, 산후 백일과 첫돌에도 장수와 부귀를 기원하는 뜻에서 의례가 행해진다. 옛날에는 관례(冠禮)라는 성년식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없어지고 혼례까지도 도시의 그것과 별로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농촌사람들이 질병을 진단·치료·예방하는 데는 아직까지도 주술종교적 신앙과 의례 및 미신행위가 상당히 작용하고 있다. 무당과 점장이·판수의 점괘와 살풀이·푸닥거리·굿·독경·삼잡기 등은 지금도 한국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속신앙이며 의례행위이다. 사망시의 초혼(招魂)과 초종(初終)·소렴(小殮)·대렴(大斂)·발인(發靷)·개토제(開土祭)·평토제(平土祭)·반혼제(返魂祭)·[[삼우제]](三虞祭)·삭망전(朔望奠)도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철저하게 시행되고 있다. 가족을 중심으로 한 신앙과 의례에 있어서는 성주(成造神)·조왕(▩王神)·터주·업 등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고 가족의 안녕과 무병(無病)·풍요(豊饒)와 재수를 기원하는 의례를 행하며, 조상숭배 관념과 제사의례, 풍수설에 의한 묘지신앙 등도 도시에 비하여 농촌에서 현저하게 거행되고 있다. 특히 앞에 열거한 가신(家神)과 샤머니즘에 관련된 가족신앙과 무당의 행사인 굿은 부녀자들을 중심으로 행해지며, 조상숭배의 제례는 남자들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마을을 단위로 한 신앙과 의례는 성황·산신·용신(龍神)·해신(海神) 등을 섬기는 부락제(部落祭)에서 볼 수 있으며, 그 목적은 의·식·주와 생업활동을 중심으로 한 경제의 안정과 마을 사람들의 평안을 기원하는 것이다. 그 밖에 기독교나 불교와 같은 종교적 신앙과 예배 의례행사도 한국 농촌에서는 상당히 행해지고 있지만 도시의 그것과 별로 다를 것이 없다.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