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한국 농촌문화의 변용== 한국 농촌문화의 변용은 긴 역사적 안목으로 볼 때 조선 후기 서양사상의 전래에서 비롯되나 본격적인 대규모의 문화변용은 2차대전 이후 서양, 특히 미국의 한국 지배력이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물론 20세기 중엽의 일본 식민지하에도 정치·경제·제도상의 변화는 심했으나 전통사회의 규범적 문화와 관념적 문화의 변용이 그 속도에 따른 것은 아니었다. 2차대전이 끝나고 서양문화가 한국에 침투하여 우리의 전통문화와 접촉을 하게 되면서부터 문화변용은 급속도로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도시에 비하면 농촌의 문화변용 과정은 그 속도가 훨씬 느리다. 오히려 일단 도시에서 변용된 문화의 특질이 다시 농촌에 파급되는 현상이 더욱 뚜렷한 것 같다.도시문화의 특질이 농촌에 파급될 때 농촌문화는 그에 비례해서 변모의 현상을 나타낸다. 전통적 농촌사회의 공동체적 유대가 붕괴되고 의·식·주의 생활양식이 도시화되어 간다. 대량상품의 농촌침투가 물질생활면에서 도시와 농촌을 획일화시키며, 가족에서의 효(孝)의 관념과 인간관계의 권위주의적 지배양상은 개인 위주의 사상으로 변형, 발전된다. 품앗이·두레와 같은 전통적 협동체제가 약화되고 그 대신 임금노동과 계약노동이 훨씬 더 보편적인 형태로 발전한다. 미신과 주술종교적 관념형태가 그 자취를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으나 농민의 행동을 지배하는 합리성의 영향이 그 파급영역을 확대해감에 따라서 유교적 조상숭배와 무속(巫俗)의 관습체계가 그 힘을 상실해가고 있다.이와 같은 한국 농촌문화의 변용과정을 촉진시킨 요인을 우리는 국가의 시책과 계획에 따른 제반정치과정과 교육,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군대에서 돌아온 농촌청년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정부는 농촌의 지역사회 개발사업과 계속 전개되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통해서 새로운 농업기술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새로운 관행(慣行)과 아이디어를 농민들에게 불어 넣어 주고 있으며, 신문·라디오 등 매스 미디어의 보급은 그 전달과정을 더욱 빨리 촉진시켜주고 있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정보전달, 의견 및 시야의 확대,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 새로운 기술의 전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국 농촌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이러한 역할 수행은 그대로 적용된다. 한국 농촌에는 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영향은 농촌주민의 사고와 생활방식을 크게 변모시키고 있다.1950년의 한국전쟁 이래로 모든 한국의 젊은이들은 군복무를 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농촌의 젊은이들은 그들의 군복무 기간 동안 전국의 각지에서 온 다른 젊은이들과 접촉하며 전국 각지를 여행할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경험하게 된다. 그들이 군복무를 마친 다음에 고향에 돌아가서 마을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양식에 새로운 영향을 줄 것은 당연하다. 그리하여 새로운 농민의 사회적 성격은 새로운 농촌문화를 발전시키고 새로 확립된 농촌문화는 농촌사람들에게 다시 내면화되어 변증법적 발전을 이루게 된다.<!--<韓 相 福>-->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 분류: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