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last_survivors_of_historical_events|역사적 사건의 마지막 생존자들(위키피디아)]]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last_survivors_of_historical_events|역사적 사건의 마지막 생존자들(위키피디아)]]


  * 강민철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의 테러범들 중 마지막 생존자.[* 나머지 두 명은 범행 직후 사살되거나 부상당한 상태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 강민철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의 테러범들 중 마지막 생존자.[* 나머지 두 명은 범행 직후 사살되거나 부상당한 상태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북한]]의 암살 위협을 두려워하다가 2008년에 교도소에서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북한]]의 암살 위협을 두려워하다가 2008년에 교도소에서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 강영일 - [[지강헌]] 인질극 사건 주범 중 유일한 생존자. 1967년생.  
  * 강영일 - [[지강헌]] 인질극 사건 주범 중 유일한 생존자. 1967년생.  
  *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강윤국]] - 대한민국에서 의사 칭호를 받은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중, 마지막으로 생존했다.
  *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강윤국]] - 대한민국에서 의사 칭호를 받은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중, 마지막으로 생존했다.
  * [[고중덕]] - 마지막까지 생존한 [[조선귀족]]이다. 적어도 [[2011년]]까지는 생존해 있었다.
  * [[고중덕]] - 마지막까지 생존한 [[조선귀족]]이다. 적어도 [[2011년]]까지는 생존해 있었다.
  * [[귀도 마제티]]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의 이탈리아 국가대표 우승 스쿼드에 포함된 선수들 중 마지막 생존자.  
  * [[귀도 마제티]] -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의 이탈리아 국가대표 우승 스쿼드에 포함된 선수들 중 마지막 생존자. 1993년 11월 26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93년 11월 26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김종필]] - [[삼김시대|삼김]] 중 가장 마지막으로 생존했었다.[* [[김대중]]은 2009년, [[김영삼]]은 2015년에 서거했으며 마지막 남은 김종필은 2018년 별세하였다.]
  * [[김종필]] - [[삼김시대|삼김]] 중 가장 마지막으로 생존했었다.[* [[김대중]]은 2009년, [[김영삼]]은 2015년에 서거했으며 마지막 남은 김종필은 2018년 별세하였다.]
  * 기무라 지로에몬[* 木村次郎右衛門, 1897~2013] - 19세기에 태어난 것이 __공인된__[* 사실 개발도상국들은 과거 통계 체계가 미비했기에 [[음바 고토]]처럼 자신이 주장한 생년이 실제인지 알 수 없어 장수 기록을 경신하지 못한 경우가 수두룩하다.]  
  * 기무라 지로에몬[* 木村次郎右衛門, 1897~2013] - 19세기에 태어난 것이 __공인된__[* 사실 개발도상국들은 과거 통계 체계가 미비했기에 [[음바 고토]]처럼 자신이 주장한 생년이 실제인지 알 수 없어 장수 기록을 경신하지 못한 경우가 수두룩하다.] 남성 중 마지막으로 생존한 사람이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통역으로 일했으며, 집배원으로 일하다가 정년퇴직한 것도 1962년이었다. 2013년 6월 12일 향년 '''11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갑오개혁때 태어나서 방탄소년단 데뷔년도까지 산 것이다]
남성 중 마지막으로 생존한 사람이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통역으로 일했으며, 집배원으로 일하다가 정년퇴직한 것도 1962년이었다. 2013년 6월 12일 향년 '''11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갑오개혁때 태어나서 방탄소년단 데뷔년도까지 산 것이다]
  * [[김창규(군인)|김창규]] - 마지막으로 생존했던 [[중장]] 계급 [[공군참모총장]], 중장 계급 국군 참모총장들 중에서도 마지막 생존자였다.[* 중장 계급 국군참모총장 중 마지막 생존자는 [[육군참모총장]]은 2020년에 7월에 사망한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이었으며, [[해군참모총장]]은 2019년에 사망한 [[이성호(해군)|이성호]] 예비역 해군중장이었다.] 2020년 11월에 100세로 사망했다.
  * [[김창규(군인)|김창규]] - 마지막으로 생존했던 [[중장]] 계급 [[공군참모총장]], 중장 계급 국군 참모총장들 중에서도 마지막 생존자였다.[* 중장 계급 국군참모총장 중 마지막 생존자는 [[육군참모총장]]은 2020년에 7월에 사망한 [[백선엽]] 예비역 육군대장이었으며, [[해군참모총장]]은 2019년에 사망한 [[이성호(해군)|이성호]] 예비역 해군중장이었다.] 2020년 11월에 100세로 사망했다.
  * 나가이 케이지 - [[펠렐리우 전투]]에 참전했던 마지막 [[일본군]] 생존자.[* 일본 대본영의 총옥쇄 명령과 선동으로 인해 '''99% 이상의 병력이 사망한''' 전쟁사 역사상 가장 비참한 전투들 중 하나였다.  
  * 나가이 케이지 - [[펠렐리우 전투]]에 참전했던 마지막 [[일본군]] 생존자.[* 일본 대본영의 총옥쇄 명령과 선동으로 인해 '''99% 이상의 병력이 사망한''' 전쟁사 역사상 가장 비참한 전투들 중 하나였다. 약 1만여 명 정도 됐던 일본군 수비대원들 중 살아남아서 일본땅을 밟을 수 있었던 일본군 병사는 단 '''54명(전투 직후 포로가 된 일본군 19명-{육군 7, 해군 12명}+1947년에 항복한 나가이 케이지 포함 34명+50년대에 머리카락이 허리까지 자란 채 짐승의 몰골을 하고 생포돼 일본으로 송환된 어느 일본군 1명)'''뿐이었다. 이외 포로들은 일본, 조선 등에서 온 노무자들. 그런데 그 생존한 노무자들 숫자도 수백에 불과했다.] 동굴에 숨어서 1947년까지 저항하다가 투항했다.[* 이 과정에서 항복하자고 의견을 낸 동료가 있었는데, 처형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쓰치다 기요카즈(土田喜代一) 라는 일본 해군 수병(계급은 상병)이 탈주를 감행, 어차피 탈주한 이상 돌아가도 동료들한테 살해당할 게 뻔하기에 미군 지프를 세워서 미군에 항복, 일본이 졌다는 사실을 알고 동료들을 설득시켜서 투항시켰다. 이후 츠치다 상병은 수십 년 후 손녀와 옛 전우와 펠렐리우를 재방문하여 [[https://youtu.be/Ir5ZmA2JF2k|한때 적이었던 미 해병대원들과 화해의 악수를 하기도 했으며(처형당한 동료를 묻었던 곳에 주저앉아 울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2018년 10월 타계한다.] 일본에 귀국한 뒤 과자점을 운영하다가 2019년 향년 98세로 사망했다. 펠렐리우 섬에서 산호 하나를 갖고와서 평생 펠렐리우에서 죽어간 전우들을 생각했다고 하고, '''"[[일본국 헌법#s-3.4|일본의 평화헌법]]은 세계에 일본이 자랑해야 할 것"'''이라는 말을 남길 정도로 평생 전쟁에 [[https://www3.nhk.or.jp/nhkworld/en/news/backstories/775/|치를 떨었다고 한다]].
약 1만여 명 정도 됐던 일본군 수비대원들 중 살아남아서 일본땅을 밟을 수 있었던 일본군 병사는 단 '''54명(전투 직후 포로가 된 일본군 19명-{육군 7, 해군 12명}+1947년에 항복한 나가이 케이지 포함 34명+50년대에 머리카락이 허리까지 자란 채 짐승의 몰골을 하고 생포돼 일본으로 송환된 어느 일본군 1명)'''뿐이었다. 이외 포로들은 일본, 조선 등에서 온 노무자들. 그런데 그 생존한 노무자들 숫자도 수백에 불과했다.] 동굴에 숨어서 1947년까지 저항하다가 투항했다.[* 이 과정에서 항복하자고 의견을 낸 동료가 있었는데, 처형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쓰치다 기요카즈(土田喜代一) 라는 일본 해군 수병(계급은 상병)이 탈주를 감행, 어차피 탈주한 이상 돌아가도 동료들한테 살해당할 게 뻔하기에 미군 지프를 세워서 미군에 항복, 일본이 졌다는 사실을 알고 동료들을 설득시켜서 투항시켰다.
이후 츠치다 상병은 수십 년 후 손녀와 옛 전우와 펠렐리우를 재방문하여 [[https://youtu.be/Ir5ZmA2JF2k|한때 적이었던 미 해병대원들과 화해의 악수를 하기도 했으며(처형당한 동료를 묻었던 곳에 주저앉아 울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2018년 10월 타계한다.] 일본에 귀국한 뒤 과자점을 운영하다가 2019년 향년 98세로 사망했다. 펠렐리우 섬에서 산호 하나를 갖고와서 평생 펠렐리우에서 죽어간 전우들을 생각했다고 하고, '''"[[일본국 헌법#s-3.4|일본의 평화헌법]]은 세계에 일본이 자랑해야 할 것"'''이라는 말을 남길 정도로 평생 전쟁에 [[https://www3.nhk.or.jp/nhkworld/en/news/backstories/775/|치를 떨었다고 한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쇼와 시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일본총리]]들 가운데 [[레이와 시대]]가 열리는 모습까지 보고 사망한 유일한 생존자이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쇼와 시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일본총리]]들 가운데 [[레이와 시대]]가 열리는 모습까지 보고 사망한 유일한 생존자이다.
  * 네스터 마타 - 1957년 필리핀 제7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가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했던 [[https://en.m.wikipedia.org/wiki/1957_Cebu_Douglas_C-47_crash|세부섬 C-47 추락사고]]의 유일한 생존자. 추락사고로 인해 탑승자 26명 중 막사이사이 대통령과 수행원을 포함한 25명이 사망했지만[*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시신은 유품인 손목시계와 시신의 치아를 치과 진료 기록과 대조하여 확인되었다.], 당시 필리핀 헤럴드지 소속 기자였던 네스터 마타만 비행기 밖으로 튕겨져 나가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네스터 마타는 추락현장 인근에 거주하던 농부에게 구조되었지만 추락현장이 오지에다가 교통이 좋지 못해 발견된 지 18시간만에 후송되었고, 심한 화상을 입어서 병원에 6개월 동안 입원해 있었다. 이후에도 언론인 활동을 계속하다가 2018년 향년 92세로 사망했다.
  * 네스터 마타 - 1957년 필리핀 제7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가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했던 [[https://en.m.wikipedia.org/wiki/1957_Cebu_Douglas_C-47_crash|세부섬 C-47 추락사고]]의 유일한 생존자. 추락사고로 인해 탑승자 26명 중 막사이사이 대통령과 수행원을 포함한 25명이 사망했지만[*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시신은 유품인 손목시계와 시신의 치아를 치과 진료 기록과 대조하여 확인되었다.], 당시 필리핀 헤럴드지 소속 기자였던 네스터 마타만 비행기 밖으로 튕겨져 나가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네스터 마타는 추락현장 인근에 거주하던 농부에게 구조되었지만 추락현장이 오지에다가 교통이 좋지 못해 발견된 지 18시간만에 후송되었고, 심한 화상을 입어서 병원에 6개월 동안 입원해 있었다. 이후에도 언론인 활동을 계속하다가 2018년 향년 92세로 사망했다.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