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새 넘겨주기 |
(철새 (정치)에 대한 넘겨주기를 제거함) 태그: 넘겨주기 제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른 뜻|철새 (드라마)||드라마}} | |||
{{다른 뜻|철새 (정치)||정치}} | |||
[[파일:MigrationFlock.jpg|섬네일|떼지어 날아가는 [[흰뺨기러기]]]] | |||
[[파일:Migrationroutes.svg|섬네일|철새의 이동 경로]] | |||
'''철새'''({{문화어|계절조}})는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새]]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계절의 변화가 뚜렷해 다양한 철새를 사계절 모두 접해 볼 수 있다. 철새는 무리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 |||
== 분류 == | |||
* 여름철새(Summer Visitor) - 겨울에는 아열대지역에서 월동하다 봄에 한국으로 와 번식한 후 가을에 남쪽 지역으로 다시 이주하는 새. | |||
* 겨울철새(Winter Visitor) - 여름에는 [[시베리아]]나 [[만주]] 등 [[위도|고위도]]에서 번식하다 겨울에 중위도 지방으로 월동하는 새. 겨울에는 저위도의 따뜻한 지방에서 월동한다. | |||
* 통과철새(Passage Visitor, 나그네새) - 번식은 고위도 지역에서 활동 및 월동은 저위도 지역에서 보내는 철새로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관찰할 수 있다. | |||
* 길잃은새(Vagrant) - 길을 잃고 원래의 이동 경로 및 서식 지역에서 벗어난 새들을 의미한다. 미조(迷鳥)라고도 한다. | |||
== 설명 == | |||
일반적으로 철새는 먹이가 풍부한 장소와 시기에 새끼를 기르고, 따뜻하고 먹이가 풍부한 장소에서 월동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조류의 과 목록|조류과]]의 진화과정에서 획득한 적응 현상중 하나이다. 또 조류의 이동은 북반구를 기준으로 하여 몇 가지의 바다새를 제외하고는 역방향으로서의 이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남방(월동지)에서 북방(번식지) 사이를 1년에 두 번 이동하는 셈이다. 물떼새류인 [[검은가슴물떼새]]는 여름의 번식지인 [[시베리아]] 서부 등의 북극권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까지 장거리 이동을 하고, 미국의 검은가슴물떼새는 알래스카의 툰드라 지대에서 아르헨티나까지 13,000km의 거리를 여행한다. 이와 같이 장거리를 이동하는 조류는 이 밖에도 몇 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하여 [[휘파람새]] 같은 떠돌이새는 단거리를 이동한다. | |||
== 나그네새 == | |||
'''나그네새'''({{문화어|려조(旅鳥)}})는 번식지에서 월동지로 이동할 때 봄과 가을 2번을 걸쳐 한 지방을 지나가는 철새이다. [[물떼새]]류, 대부분의 [[도요과]] 새들은 한국의 나그네새이다.<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6570400 국어사전 - 나그네 새]</ref> | |||
== 철새의 종류 == | |||
{{세계화 문단|날짜=2023-11-12}} | |||
{| class="wikitable" | |||
|- | |||
! 철새 !! 대표 종 | |||
|- | |||
| 여름철새 || [[제비]], [[꾀꼬리]], [[뻐꾸기]], [[개개비]], [[백로 (새)|백로]]류, [[물총새]], [[호반새]], [[청호반새]], [[흰눈썹황금새]], [[큰유리새]] 등 | |||
|- | |||
|겨울철새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 [[고니]], [[큰고니]], [[혹고니]], [[가창오리]], [[청머리오리]], [[홍머리오리]], [[고방오리]], [[청둥오리]], [[쇠오리]], [[독수리]], [[물닭]] 등 | |||
|- | |||
|통과철새 || [[도요물떼새]]류와 함께 벌매, [[비둘기조롱이]], [[노랑눈썹솔새]], [[제비딱새]], [[긴발톱할미새]], [[붉은가슴밭종다리]] 등 | |||
|} | |||
== 각주 == | |||
{{각주}} | |||
== 참고 자료 == | |||
*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14&subMenu=014013&contCd=014013001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 철새] (공공누리제1유형)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
{{토막글|새}} | |||
[[분류:조류학]] | |||
[[분류:동물의 이주]] |
2024년 1월 24일 (수) 17:48 기준 최신판
드라마에 대해서는 철새 (드라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치에 대해서는 철새 (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철새(문화어: 계절조)는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새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계절의 변화가 뚜렷해 다양한 철새를 사계절 모두 접해 볼 수 있다. 철새는 무리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여름철새(Summer Visitor) - 겨울에는 아열대지역에서 월동하다 봄에 한국으로 와 번식한 후 가을에 남쪽 지역으로 다시 이주하는 새.
- 겨울철새(Winter Visitor) - 여름에는 시베리아나 만주 등 고위도에서 번식하다 겨울에 중위도 지방으로 월동하는 새. 겨울에는 저위도의 따뜻한 지방에서 월동한다.
- 통과철새(Passage Visitor, 나그네새) - 번식은 고위도 지역에서 활동 및 월동은 저위도 지역에서 보내는 철새로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관찰할 수 있다.
- 길잃은새(Vagrant) - 길을 잃고 원래의 이동 경로 및 서식 지역에서 벗어난 새들을 의미한다. 미조(迷鳥)라고도 한다.
설명[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철새는 먹이가 풍부한 장소와 시기에 새끼를 기르고, 따뜻하고 먹이가 풍부한 장소에서 월동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조류과의 진화과정에서 획득한 적응 현상중 하나이다. 또 조류의 이동은 북반구를 기준으로 하여 몇 가지의 바다새를 제외하고는 역방향으로서의 이동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남방(월동지)에서 북방(번식지) 사이를 1년에 두 번 이동하는 셈이다. 물떼새류인 검은가슴물떼새는 여름의 번식지인 시베리아 서부 등의 북극권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까지 장거리 이동을 하고, 미국의 검은가슴물떼새는 알래스카의 툰드라 지대에서 아르헨티나까지 13,000km의 거리를 여행한다. 이와 같이 장거리를 이동하는 조류는 이 밖에도 몇 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하여 휘파람새 같은 떠돌이새는 단거리를 이동한다.
나그네새[편집 | 원본 편집]
나그네새(문화어: 려조(旅鳥))는 번식지에서 월동지로 이동할 때 봄과 가을 2번을 걸쳐 한 지방을 지나가는 철새이다. 물떼새류, 대부분의 도요과 새들은 한국의 나그네새이다.[1]
철새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철새 | 대표 종 |
---|---|
여름철새 | 제비, 꾀꼬리, 뻐꾸기, 개개비, 백로류, 물총새, 호반새, 청호반새, 흰눈썹황금새, 큰유리새 등 |
겨울철새 |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 고니, 큰고니, 혹고니, 가창오리, 청머리오리, 홍머리오리, 고방오리, 청둥오리, 쇠오리, 독수리, 물닭 등 |
통과철새 | 도요물떼새류와 함께 벌매, 비둘기조롱이, 노랑눈썹솔새, 제비딱새, 긴발톱할미새, 붉은가슴밭종다리 등 |
각주[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 철새 (공공누리제1유형)
이 토막글 틀의 변수는 잘못 사용되었습니다. 알맞은 변수를 토막글 모음에서 골라 사용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