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심상정은 [[녹색정의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의 상징적인 정치인이며, 현재 [[정의당 (대한민국)|정의당]]의 유일한 지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였던 [[고양시 갑]]에서 낙선하고 4월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 심상정은 [[녹색정의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의 상징적인 정치인이며, 현재 [[정의당 (대한민국)|정의당]]의 유일한 지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였던 [[고양시 갑]]에서 낙선하고 4월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 ||
== 학력 == | |||
* [[서울대조초등학교]] 졸업 | |||
* [[충암중학교]] 졸업 | |||
* [[명지고등학교]] 졸업 | |||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학사 | |||
== 생애 == | |||
=== 구로동맹파업 === | |||
1980년 서울대학교 최초로 총여학생회를 창설하고, 서울대학교 초대 총여학생회장이 되었다.<ref name="seoul.co.kr">{{뉴스 인용|저자=이현정|날짜=2012-10-23|제목=동지였던 두 여인, 앙숙이 되다|url=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1023002006|출판사=서울신문|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90121010732/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1023002006|보존날짜=2019-01-21|확인날짜=2022-02-04}}</ref> 그 해에, [[위장취업]]으로 [[구로공단]]으로 취업해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등 노동운동을 펼쳤다.<ref name="%25EC%259D%25B8%25EC%2582%25AC">인물과 사상, 2004년 6월호, 56-73쪽</ref>대우어패럴 미싱사로 일하면서 노동조합을 결성하였고, 1985년 6월 전두환 군사독재정권 시기 최초의 정치적 연대파업투쟁인 [[구로동맹파업]]에 나섰다.<ref>{{뉴스 인용|저자1=박주연|저자2=김세구|날짜=2008-03-04|제목=[아주 특별한 인터뷰]새로운 진보 꿈꾸는 심상정 의원|url=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16991|출판사=주간경향|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204114536/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16991|보존날짜=2022-02-04|확인날짜=2022-02-04}}</ref> | |||
구로동맹파업은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최초의 동맹파업이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고속 성장의 이면에는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장시간 노동하면서도 저임금에 시달리던 노동자의 희생이 있었고, [[1980년대]] 초에도 이러한 상황은 달라지지 않고 있었다.<ref>역사학연구소,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 156-157쪽, {{ISBN|89-7483-215-1}}</ref> 당시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만으로도 사상이 불온한 자로 낙인찍혔으며 노동조합과 관련되어 해고될 경우 블랙리스트에 올라 다른 직장을 구하는데에도 차별을 받았다.<ref>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6, 443쪽, {{ISBN|89-7483-208-9}}</ref>1983년부터 구로공단의 노동자들은 여러 사업장에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민주노동조합을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 |||
파업은 자본가들과 결탁한 구사대의 폭력과 경찰의 탄압 속에 1주일만에 끝났다. 이 사건으로 44명의 노동자가 구속되고 1천여명의 노동자가 해고되었다.<ref>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1995년 여름호, 104쪽</ref>1984년 노조결성 및 쟁의로 수배 중이었던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으로 인해 주동자로 지명수배되었다. 당시 상황을 심상정은 이렇게 회고 하고 있다. | |||
{{인용문2|파업 닷새쯤 되던 날 텔레비전 9시 뉴스를 보던 중 화면에서 "1계급 특진, 현상금 5백만원"이 걸린 내 얼굴을 보았다. 그것은 내가 언론과 처음으로 맺은 인연이었다.……당시 나는 국가보안법 위반혐의까지 걸려 있었다. 붙잡히면 물고문, 전기고문 등 극악한 인권 탄압이 횡행하던 시절이었다.|심상정<ref>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44쪽, {{ISBN|89-959952-2-X}}</ref>}} | |||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으로 1993년까지 10년간 수배되었으며, 1993년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ref name="%25EC%259D%25B8%25EC%2582%25AC"/> 한편 2001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구로동맹파업을 [[민주화운동]]으로 인정하고 관련자들의 명예를 회복하였다.<ref>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50쪽, {{ISBN|89-959952-2-X}}</ref> | |||
==== 서울노동운동연합 ==== | |||
{{참고|서울노동운동연합}} | |||
구로동맹파업 이후 심상정은 조직적인 민주노조운동에 나섰다. 구로동맹파업에 대한 정권의 탄압으로 개별 기업 단위 노동조합만으로는 노동기본권을 지키는 것이 힘들다는 판단 하에 1985년 8월 심상정은 기업 단위 노동조합을 뛰어넘는 대중 정치 조직으로서 '[[서울노동운동연합]](이하 서노련)' 창립에 함께 하였다. 서울노동운동연합은 노동조합의 교육과 군사독재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을 전개하였으며<ref>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8, 188쪽, {{ISBN|89-7696-526-4}}</ref> 1986년 5월 1일 [[구로공단]]에서 [[노동절]] 기념집회를 주도하였다.<ref>역사학연구소,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년, 162쪽, {{ISBN|89-7483-215-1}}</ref> | |||
1986년 5월 4일 [[전두환]] 정권은 서울노동운동연합을 [[국가보안법]]에 의한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이들을 연행하였다. 전두환 정권은 수사관할권이 없는 [[보안사령부]]를 동원하여 관련자를 구속하고 고문과 같은 가혹행위로 조직사건을 만들어내었다.<ref>박원순, 국가보안법연구 2, 역사비평사, 2008, 275-276쪽, {{ISBN|89-7696-303-2}}</ref> 이로 인해 서울노동운동연합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심상정은 체포를 피해 수배생활을 계속했다. | |||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 |||
{{참고|전국노동조합협의회}} | |||
서울노동운동연합의 와해 이후에도 노동운동은 끊임없이 민주화와 노동권의 확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심상정은 1988년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가 창립되자 쟁의국장과 조직국장을 역임했다.<ref>[http://wbook.liso.net/view.asp?menucode=read&book=2&number=1071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정책실, 편집실 등] {{웨이백|url=http://wbook.liso.net/view.asp?menucode=read&book=2&number=1071 |date=20160304104521 }}, 전노협 백서</ref> | |||
1990년 1월 22일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수원]]의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창립대의원대회를 열고 [[단병호]]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원래 [[서울대학교]]에서 열려고 하였던 이 대회는 [[노태우]] 정권이 경찰을 동원하여 원천봉쇄하여 수원에서 열리게 되었으며 창립 행사가 끝나자마자 130여명의 노동자가 연행되었다.<ref>[http://koreanliterature.kaist.ac.kr/leesangkyung/picture/picture_28.htm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이상경교수의 홈페이지 자료]{{깨진 링크|url=http://koreanliterature.kaist.ac.kr/leesangkyung/picture/picture_28.htm }}</ref> | |||
한편, 심상정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창립일 하루 전 경찰에게 연행되어 창립식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경찰서에서는 10년의 수배 생활을 해온 노동운동의 거물이 잡혔다며 "얼굴좀 보자"고 경찰들이 몰려들었고 창립식은 텔레비전으로 보아야 했다. 심상정은 불구속으로 기소되어 1993년 법정에 섰다. 선고 공판이 있는 날 심상정은 만삭의 몸이었다. 판사는 "무죄를 선고하고 싶으나 관련법규가 최소한 집행유예를 선고하게 되어있다"는 설명과 함께 집행유예를 선고하였다.<ref name="s49_50">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49-50쪽, {{ISBN|89-959952-2-X}}</ref> | |||
심상정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창립을 위해 발전적으로 해체될 때까지 조직국장 등의 역할을 맡아 일했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 |||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 |||
{{참고|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
1995년 11월 11일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창립되었다. 창립당시 862개의 단위 노조가 민주노총에 가입하였고 조합원 수는 42만여 명이었다.<ref>계명대학교 출판부, 한국역사의 이해, 2008년, 290쪽, {{ISBN|89-7585-068-4}}</ref> 심상정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민주금속연맹과 금속산업연맹의 사무차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금속연맹은 산업별 노동조합인 [[전국금속노동조합]]으로 발전하였다. 심상정은 전국금속노동조합에서도 계속하여 사무처장을 역임하였다. | |||
전국금속노동조합은 2003년 대한민국 최초로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노동조건 개선 및 임금삭감없는 주 5일 근무제를 합의하였다. 심상정은 금속노동조합의 일을 하면서 "철의 여인"이란 별명을 얻었다.<ref name="s49_50"/> | |||
2003년, 심상정은 그해 9월 [[금속노조]] 사무처장직을 물러나 진보정치 운동을 시작하였다. | |||
== 선거 이력 == | == 선거 이력 == |
2024년 6월 13일 (목) 15:47 판
심상정 沈相奵 |
|
---|---|
인물 정보 | |
출생 | 1959년 3월 28일 (65세)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 마리아) |
정당 | 정의당 |
신체 | 160cm, B형 |
배우자 | 이승배 |
가족 | 아들 이우균 |
현직 | 정의당 고양시 갑 지역위원장 |
경력 | 정의당 당대표 정의당 19·20대 대선후보 고양시 갑 제20·21대 국회의원 |
개요
심상정은 녹색정의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의 상징적인 정치인이며, 현재 정의당의 유일한 지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였던 고양시 갑에서 낙선하고 4월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학력
생애
구로동맹파업
1980년 서울대학교 최초로 총여학생회를 창설하고, 서울대학교 초대 총여학생회장이 되었다.[1] 그 해에, 위장취업으로 구로공단으로 취업해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등 노동운동을 펼쳤다.[2]대우어패럴 미싱사로 일하면서 노동조합을 결성하였고, 1985년 6월 전두환 군사독재정권 시기 최초의 정치적 연대파업투쟁인 구로동맹파업에 나섰다.[3]
구로동맹파업은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최초의 동맹파업이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고속 성장의 이면에는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장시간 노동하면서도 저임금에 시달리던 노동자의 희생이 있었고, 1980년대 초에도 이러한 상황은 달라지지 않고 있었다.[4] 당시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만으로도 사상이 불온한 자로 낙인찍혔으며 노동조합과 관련되어 해고될 경우 블랙리스트에 올라 다른 직장을 구하는데에도 차별을 받았다.[5]1983년부터 구로공단의 노동자들은 여러 사업장에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민주노동조합을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파업은 자본가들과 결탁한 구사대의 폭력과 경찰의 탄압 속에 1주일만에 끝났다. 이 사건으로 44명의 노동자가 구속되고 1천여명의 노동자가 해고되었다.[6]1984년 노조결성 및 쟁의로 수배 중이었던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으로 인해 주동자로 지명수배되었다. 당시 상황을 심상정은 이렇게 회고 하고 있다.
“ | 파업 닷새쯤 되던 날 텔레비전 9시 뉴스를 보던 중 화면에서 "1계급 특진, 현상금 5백만원"이 걸린 내 얼굴을 보았다. 그것은 내가 언론과 처음으로 맺은 인연이었다.……당시 나는 국가보안법 위반혐의까지 걸려 있었다. 붙잡히면 물고문, 전기고문 등 극악한 인권 탄압이 횡행하던 시절이었다. | ” |
— 심상정[7]
|
심상정은 구로동맹파업으로 1993년까지 10년간 수배되었으며, 1993년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2] 한편 2001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구로동맹파업을 민주화운동으로 인정하고 관련자들의 명예를 회복하였다.[8]
서울노동운동연합
구로동맹파업 이후 심상정은 조직적인 민주노조운동에 나섰다. 구로동맹파업에 대한 정권의 탄압으로 개별 기업 단위 노동조합만으로는 노동기본권을 지키는 것이 힘들다는 판단 하에 1985년 8월 심상정은 기업 단위 노동조합을 뛰어넘는 대중 정치 조직으로서 '서울노동운동연합(이하 서노련)' 창립에 함께 하였다. 서울노동운동연합은 노동조합의 교육과 군사독재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을 전개하였으며[9] 1986년 5월 1일 구로공단에서 노동절 기념집회를 주도하였다.[10]
1986년 5월 4일 전두환 정권은 서울노동운동연합을 국가보안법에 의한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이들을 연행하였다. 전두환 정권은 수사관할권이 없는 보안사령부를 동원하여 관련자를 구속하고 고문과 같은 가혹행위로 조직사건을 만들어내었다.[11] 이로 인해 서울노동운동연합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심상정은 체포를 피해 수배생활을 계속했다.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서울노동운동연합의 와해 이후에도 노동운동은 끊임없이 민주화와 노동권의 확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심상정은 1988년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가 창립되자 쟁의국장과 조직국장을 역임했다.[12]
1990년 1월 22일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수원의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창립대의원대회를 열고 단병호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원래 서울대학교에서 열려고 하였던 이 대회는 노태우 정권이 경찰을 동원하여 원천봉쇄하여 수원에서 열리게 되었으며 창립 행사가 끝나자마자 130여명의 노동자가 연행되었다.[13]
한편, 심상정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창립일 하루 전 경찰에게 연행되어 창립식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경찰서에서는 10년의 수배 생활을 해온 노동운동의 거물이 잡혔다며 "얼굴좀 보자"고 경찰들이 몰려들었고 창립식은 텔레비전으로 보아야 했다. 심상정은 불구속으로 기소되어 1993년 법정에 섰다. 선고 공판이 있는 날 심상정은 만삭의 몸이었다. 판사는 "무죄를 선고하고 싶으나 관련법규가 최소한 집행유예를 선고하게 되어있다"는 설명과 함께 집행유예를 선고하였다.[14]
심상정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창립을 위해 발전적으로 해체될 때까지 조직국장 등의 역할을 맡아 일했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1995년 11월 11일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창립되었다. 창립당시 862개의 단위 노조가 민주노총에 가입하였고 조합원 수는 42만여 명이었다.[15] 심상정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민주금속연맹과 금속산업연맹의 사무차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금속연맹은 산업별 노동조합인 전국금속노동조합으로 발전하였다. 심상정은 전국금속노동조합에서도 계속하여 사무처장을 역임하였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2003년 대한민국 최초로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노동조건 개선 및 임금삭감없는 주 5일 근무제를 합의하였다. 심상정은 금속노동조합의 일을 하면서 "철의 여인"이란 별명을 얻었다.[14]
2003년, 심상정은 그해 9월 금속노조 사무처장직을 물러나 진보정치 운동을 시작하였다.
선거 이력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2004년 |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비례대표 | 민주노동당 | 2,774,061표 |
|
비례대표 1번 | 초선 | |||
2008년 |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 진보신당 | 25,049표 |
|
2위 | 낙선 | |||
2010년 | 지방 선거 | 33대 | 도지사 | 경기도 | 진보신당 | - 표 |
|
- | 사퇴 | 민선 5기 | ||
2012년 |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 통합진보당 | 43,928표 |
|
1위 | 재선 | |||
2016년 |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갑 | 정의당 | 71,043표 |
|
1위 | 3선 | |||
2017년 | 대선 | 19대 | 대통령 | 대한민국 | 정의당 | 2,017,458표 |
|
5위 | 낙선 | |||
2020년 | 총선 | 21대 |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갑 | 정의당 | 56,516표 |
|
1위 | 4선 | |||
2022년 | 대선 | 20대 | 대통령 | 대한민국 | 정의당 | 803,358표 |
|
3위 | 낙선 | |||
2024년 | 총선 | 22대 |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갑 | 녹색정의당 | 28,293표 |
|
3위 | 낙선 |
전임 문성현 |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장 2008년 1월 12일~2008년 2월 4일 |
후임 강기갑 |
전임 (초대) |
제1대 진보신당 공동상임대표 2008년 3월 16일~2009년 3월 29일 |
후임 노회찬 |
전임 (초대) |
제1대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2011년 12월 5일~2012년 5월 12일 |
후임 강기갑 |
전임 강기갑 |
제2대 통합진보당 원내대표 2012년 7월 10일~2012년 7월 26일 |
후임 오병윤 |
전임 강동원 |
제2대 정의당 원내대표 2013년 6월 13일~2015년 6월 12일 |
후임 정진후 |
전임 천호선 |
제3대 정의당 상임대표 2015년 7월 18일~2017년 7월 11일 |
후임 이정미 |
전임 이정미 |
제5대 정의당 당대표 2019년 7월 13일~2020년 10월 9일 |
후임 김종철 |
전임 배진교 |
제11대 녹색정의당 원내대표 2024년 2월 20일~ |
민주노동당 제17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
---|
전임 (덕양구 갑)손범규 (덕양구 을)김태원 |
제19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통합진보당→진보정의당→정의당 (고양시 덕양구 을)김태원 |
후임 (고양시 갑)심상정 (고양시 을)정재호 (고양시 병)유은혜 (고양시 정)김현미 |
전임 (덕양구 갑)심상정 (덕양구 을)김태원 (일산동구)유은혜 (일산서구)김현미 |
제20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갑)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정의당 (고양시 을)정재호 (고양시 병)유은혜 (고양시 정)김현미 |
후임 (경기 고양 갑)심상정 (경기 고양 을)한준호 (경기 고양 병)홍정민 (경기 고양 정)이용우 |
전임 (경기 고양 갑)심상정 (경기 고양 을)정재호 (경기 고양 병)유은혜 (경기 고양 정)김현미 |
제21대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갑) 2020년 5월 30일~ 정의당 (고양시 을)한준호 (고양시 병)홍정민 (고양시 정)이용우 |
각주
- ↑ 이현정 (2012년 10월 23일). “동지였던 두 여인, 앙숙이 되다”. 서울신문. 2019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 ↑ 2.0 2.1 인물과 사상, 2004년 6월호, 56-73쪽
- ↑ 박주연; 김세구 (2008년 3월 4일). “[아주 특별한 인터뷰]새로운 진보 꿈꾸는 심상정 의원”. 주간경향. 2022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4일에 확인함.
- ↑ 역사학연구소,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 156-157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483-215-1
- ↑ 역사학연구소,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6, 443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483-208-9
- ↑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1995년 여름호, 104쪽
- ↑ 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44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959952-2-X
- ↑ 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50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959952-2-X
- ↑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8, 188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696-526-4
- ↑ 역사학연구소,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6년, 162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483-215-1
- ↑ 박원순, 국가보안법연구 2, 역사비평사, 2008, 275-276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696-303-2
- ↑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정책실, 편집실 등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전노협 백서
- ↑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이상경교수의 홈페이지 자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14.0 14.1 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49-50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959952-2-X
- ↑ 계명대학교 출판부, 한국역사의 이해, 2008년, 290쪽,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ISBN 89-7585-0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