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레닌주의(러시아어: Марксизм-ленинизм, 영어: Marxism-Leninism)는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창시하였고, 레닌스탈린이 더욱 발전시킨 철학적·경제학적·정치학적 이론의 통일적 체계로 "노동운동의 이론과 강령으로서의 현대 유물론 및 현대의 과학적 사회주의"(Lenin 21, 38)를 총체·정연화한 세계관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노동자계급의 혁명적 당의 실천적 활동을 위한 이론적 기초이며 계급 투쟁과 사회주의 혁명 및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건설을 위한 행동의 지침을 제공한다.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결정적인 것은 "사회주의 사회의 창조자로서 프롤레타리아의 세계사적인 역할을 해명"(Lenin 18, 576)했다는 점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프롤레타리아의 이러한 세계사적 역할을 제각기 특수성을 지니고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구성 요소들과 통일 속에서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마르크스는 ≪독일 이데올로기≫를 통해 기존의 청년 헤겔 학파를 비판하고, 사적 유물론을 수립하였다. 엥겔스는 ≪자연변증법≫을 통해 물질의 철학적 개념에 대한 변증법적 해명을 이루었다.

마르크스주의 유물론은 19세기-20세기 초 러시아에서 나로드니키와의 투쟁 과정에서 진일보하였다. 플레하노프는 당시 주관주의 사회학파라 불렸던 신칸트주의 아류 및 다양한 나로드니키 사조에 대항하며, 유물 변증법의 기본 체계를 다듬었다.

플레하노프는 「방법론으로서 유물 변증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포이어바흐는 헤겔 철학의 사변적 요소에 대한 공격에 전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그 변증법적 측면의 진가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그것을 이용하지 못했다.[1] [...] 맑스는 자신의 소론을 통해 헤겔의 '이념'에 대한, 그리고 사유와 존재에 관계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 포이어바흐와의 완전한 일치를 내포하고 있다. 확실히 사유가 존재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가 사유를 규정한다는 포이어바하 철학의 근본원리를 정당하다고 확신하는 사람에 의해서만 헤겔의 변증법은 '바로 세워질' 수 있다."[2]
— G. V. 플레하노프, ≪마르크스주의의 근본문제≫(1908)

플레하노프는 이로써 현대 유물론자는 필연적으로 변증법을 그 세계관의 구성물로 취할 수밖에 없음을 말하며, 포이어바흐 유물론의 한계를 지적하는 동시에, 마르크스가 비로소 유물 변증법을 창시했다는 기본적 사실을 확인한다.

레닌은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요소≫(1913)에서 레닌은 마르크스주의를 독일의 철학, 영국의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총체적 세계관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세계사적 지위가 공고하다는 것을 밝혔다.[3] 그는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유물 변증법 성과를 ≪카를 마르크스≫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마르크스는 포이어바흐의 세계사적 '획기적' 의의는 바로 그가 헤겔의 관념론과 결정적으로 손을 끊고 유물론을 선포한 데 있다고 보고 있었다. [...]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이 유물론적 철학과 완전히 일치하게 또 그것을 해설하였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헤겔에 의거하여 정식화한 이 사상[유물 변증법; 인용자]은 진화 사상보다 훨씬 더 전면적이고 훨씬 더 내용이 풍부하다. 이미 경과한 단계를 반복하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전과는 다르게 일층 더 높은 토대 위에서 그것을 반복하는 그러한 발전('부정의 부정'), 직선적으로가 아니라 이를테면, 나선적으로 진행하는 발전, '점차성의 중단', 양의 질로의 전화, 매개 현상의 모든 측면의 상호 의존성과 가장 긴밀하고 불가분적인 연관성, 통일적이고 합법칙적인 체계적 운동 과정을 제시하는 연관, 이러한 것이 발전에 관한 훨씬 더 내용이 풍부한 학설로서의 변증법의 몇 가지 특성이다."[4]
— V. I. 레닌, ≪카를 마르크스≫(1914)

스탈린은 1924년 스웨르들로브 대학의 강연에서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의 성과를 종합하여, 레닌주의를 "제국주의 시대와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시대의 마르크스주의"이라고 정의하였다. 스탈린의 강연은 ≪레닌주의의 기초에 관하여≫라는 문서로 간행되었다. 이 문헌에서 스탈린은 자유 경쟁 자본주의 시대의 보편적인 프롤레타리아 혁명 사상인 마르크스주의와 제국주의 시대와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시대의 마르크스주의인 레닌주의를 정연화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세계관을 정식화하였다.

≪레닌주의의 기초에 관하여≫에서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어떤 자들은 레닌주의란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의 특수한 제 조건에 적용한 것이라고 한다. 이 정의에는 한 가닥의 진리가 있지만 그것이 진리의 전부는 결코 아니다. 레닌은 사실상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의 현실에 적용하였으며 적용해도 아주 솜씨 있게 적용하였다. 그러나 만일 레닌주의가 한갓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의 특수한 사정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순전히 일국적인, 오로지 일국적인 현상일 것이며 순전히 러시아적인, 오로지 러시아적인 현상일 것이다. [...] 레닌주의는 국제적 발전 전반에 뿌리를 박고 있는 국제적 현상이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5]
— I. V.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에 관하여≫(1924)

일국적 차원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적용이 레닌주의의 일면적인 성격에 불과하다. 레닌주의는 국제적인 자본주의 및 혁명 운동 발전 전반에 뿌리를 박고 있는 국제적 현상이다. 이로써, 레닌주의는 러시아의 일국적 적용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한 시대에서 보편적인 성격을 갖는 과학적 이데올로기이다.

레닌주의에 대한 스탈린의 정의와 그가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체계적으로 종합화했다는 사실을 연역하면, 노동자계급의 과학적 이데올로기로서, 그리고 세계사적 산물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시대적 규정을 받는 혁명 운동에서 진리를 밝혀주는 보편적인 사상이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Plekhanov, p. 54.
  2. Plekhanov, p. 57.
  3. "마르크스의 철학적 유물론만이 프롤레타리아에게, 즉 정신적 노예 상태에서 괴로운 나날을 보내온 모든 피압박계급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다. 마르크스의 경제이론만이 자본주의의 일반적 체계 속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진정한 지위를 설명해왔다."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요소≫)
  4. LCW: Karl Marx, Vol. 21.
  5. ≪스탈린 선집≫, 제1권, p. 258.
이 문서는 좌파도서관마르크스-레닌주의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