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
지역 정보
종류
나라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시장 이상호
국회의원 이철규(국민의힘,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행정구역 8동 (행정동)
17개 (법정동)
인구 38,929 명 (2023년 5월 기준)
인구밀도 128.29 명/km2
면적 303.44 km2
기타 정보
시간대 KST (UTC+9)
마스코트 씨컴스(Seecomes), 태붐(Taebum)
상징 주목 (시목)
함박꽃 (시화)
어치 (시조)
웹사이트 태백시청 홈페이지

태백시(太白市)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강원도 최남단에 위치한 이다. 1970년대 석탄 관련 광업으로 발전하였고, 장성탄광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무연탄광이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고원 도시로서, 태백산을 비롯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휴양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1981년에 삼척군 장성읍과 황지읍을 합쳐 태백시로 승격하였고, 8개의 행정동이 있다.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인 시(市) 가운데 인구가 가장 적다.[1] 태백시를 상징하는 꽃은 함박꽃, 나무는 주목, 새는 어치이다.

태백시는 황지(북부 4개동)와 장성(남부 4개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구의 71%가 황지생활권에, 29%가 장성생활권에 거주하고 있다. 태백시는 황지읍과 장성읍이 합쳐져 시로 승격되었는데, 현재도 외형상 단일시라기보다는 2개의 도심이 분리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영동권 시군 중 동해안과 접하지 않은 유일한 내륙지역으로 동쪽으로는 삼척시 도계읍 및 가곡면, 서쪽으로는 영월군정선군,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봉화군, 북쪽으로는 삼척시 하장면신기면과 접해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삼한시대의 진한에 속한 부족국가로서 현 삼척시 사직동에 도읍을 둔 실직국(悉直國)에 속하였으나, 고구려 장수왕사직국이 망하고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신라 지증왕 때에 이곳에 실직주가 설치되었다가 무열왕 때에 북령이라 개칭하여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에 삼척군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조선 시대에는 강원도강릉부 삼척군에 속하였다. 1977년에 황지읍 화전출장소, 소도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1년에 삼척군 장성읍과 황지읍을 합하여 태백시로 승격되었다.[2]

구 행정동 신 행정동
황지1동 황지동
황지2동, 연화동 황연동
황지3동, 화전1동, 화전2동, 사조동 삼수동
상장동 상장동
계산동, 화광동 장성동
장성동, 동점동 구문소동
문곡동, 소도동 문곡소도동
철암1동, 철암2동 철암동

각주

  1.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0년 12월 13일 확인.
  2.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934
  3. 법률 제359호 (1960.1.1 공포)
  4. 삼척군조례 제51호 ('63.6.24공포)
  5. 삼척군조례 제72호 ('64.1.30 공포)
  6. 대통령령 제6543호 (제정 1973년 3월 12일공포)
  7. 삼척군조례 제583호 ('77.9.22 공포)
  8.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1년 4월 13일)
  9. 대통령령 제14434호
  10. 시조례 제1020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태백시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