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민주당
평민당 로고.svg
로고
약칭 평민당
이념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자유민주주의
스펙트럼 중도주의(당시 기준)[1]
당직자
대표 김대중
역사
창당 1987년 10월 29일
해산 1991년 9월 16일
분당 이전 정당 통일민주당
후계정당 민주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외부 조직
국제조직 중도민주 인터내셔널(참관인)
의석
국회의원 (1996년)
70 / 299
광역의원 (1991)
155 / 866

대한민국민주당계 정당. 통일민주당에서 대선후보 선출 관련 갈등으로 인해 탈당한 동교동계 인사들이 김대중을 대선 후보로 추대하기 위해 창당한 정당이다.

내력[편집 | 원본 편집]

통일민주당에 참여했던 동교동계 인사들이 탈당해 1987년 11월 12일 김대중을 총재 및 대선 후보로 추대함과 동시에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였다.

1987년 12월 16일제13대 대선에서 김대중은 3위에 그쳤고, 야권분열을 성토한 장기욱, 유제연, 김현수 의원의 통일민주당 복당으로 위기에 빠졌으나, 여성운동가 박영숙을 총재권한대행으로 영입하면서 전열을 정비해 제13대 총선에서는 지역구 54석에 전국구 16석을 합친 70석을 차지하여 통일민주당을 제치고 제1야당으로 급부상하였다.

당시 평민당은 전남 신안군을 제외한 호남 전 지역을 독식했을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무려 17석을 얻고 경기도에서도 2석을 차지하는 선전을 펼쳐 전국 득표수에서는 3위였지만 의석수에서는 민주정의당에 이어 2위로 올라설 수 있었다.

이후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대체입법안, 5.18 진상조사 등 민주화 관련 법안에서 공조하기도 하였다. 신민주공화당과 통일민주당이 3당 합당에 동조한 이후 평화민주당은 이우정, 신계륜, 장영달 등의 재야운동가를 영입한 뒤 1991년 4월 15일신민주연합당(新民主聯合黨, 약칭 신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김대중 본인은 미국 민주당을 롤 모델로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모두 참여하는 중도, 온건개혁주의 정당을 표방, 이후 1991년 9월 16일3당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된 일명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2010년, 평화민주당에서 활동했던 한화갑이 다시 평화민주당을 만들었으나 2012년에 소멸하였다.

역대 총재[편집 | 원본 편집]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1 김대중 총재 1987년 11월 12일 ~ 1988년 3월 17일
(임시) 박영숙 비상대책위원장 1988년 3월 17일 ~ 1988년 5월 6일
2 김대중 총재 1988년 5월 7일 ~ 1990년 7월 26일
3 김대중 총재 1990년 7월 27일 ~ 1991년 4월 15일
4 김대중 총재 1991년 4월 15일 ~ 1991년 9월 14일

역대 선거 결과[편집 | 원본 편집]

대통령 선거[편집 | 원본 편집]

연도 선거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1987년 13대 김대중 6,113,375표
27.04%
3위 낙선

국회의원 선거[편집 | 원본 편집]

연도 선거 지역구 비례대표 정원
당선 당선비율 당선 득표율 당선 당선비율
1988년 제13대 54/224
24.11%
16/75
19.3%
70/299
23.41%

지방선거[편집 | 원본 편집]

연도 선거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당선 당선비율 당선 당선비율 당선 당선비율 당선 당선비율
1991년 - 165/866
19.05%

각주

  1. 또는 중도좌파~중도우파 빅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