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고려민주당'''(高麗民主黨)은 [[1945년]] [[8월 18일]] 독립운동가 [[원세훈 (1887년)|원세훈]]이 결성한 정당이다. 계보상 민주당계 정당의 효시격 정당으로 거론된다. [[1945년]] [[8월 28일]] [[조선민족당]] 창당 시 흡수 통합되었다.<ref name=":3" /> 이후 [[조선민족당]]은 다시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창당 시 통합되었다.<ref name=":1">{{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kn_027_0020_0020_0010|제목=國史館論叢 第27輯 > 自由黨의 政黨政治(孫鳳淑) > Ⅱ. 건국초기의 정당난립과 자유당의 창당 > 1. 제1공화국의 수립과 이승만정권의 성립|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ref name=":0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dh_001_1945_09_16_0160|제목=한국민주당 결당식|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 == 역사 == [[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해방되자 가장 먼저 활동을 시작한 세력은 [[여운형]]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주의 좌파세력들과 [[박헌영]]의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주의]] 극좌세력들이었다. 이때 [[일제강점기]] 말기 기준 적극적인 항일활동을 전개하지는 않았지만, [[조선총독부]]의 전향 압박에 협력하지도 않았던 세력들은 [[일본 제국|일제]]의 [[황민화 정책|황국신민화 정책]]에 협력했던 인사들에 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일 수 있었다. 이 중 독립운동가 [[원세훈 (1887년)|원세훈]]이 가장 먼저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원세훈은 해방 다음 날 은거하고 있었던 평택에서 상경하여 이학수(韓學洙)의 집에 기거하면서 창당을 기획하였다.<ref name=":0">{{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kn_058_0040_0040_0020|제목=國史館論叢 第58輯 >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 구성원의 성격과 조직개편(박태균) > Ⅲ.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내 비주류세력과 그 특징 > 2. 해방 이후 정치노선과 활동|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 [[1945년]] [[8월 18일]] [[원세훈 (1887년)|원세훈]]은 고려민주당을 창당하였다.<ref name=":0" /><ref name=":2">{{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nh_052_0030_0020_0010_0010|제목=신편 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주요 정치세력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우익 정치세력의 노선과 활동 > (1) 한국민주당|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 고려민주당 위원장에 원세훈, 총무에 [[이병헌 (1896년)|이병헌]], [[현동완]](玄東完), 재정부에 유흥산(劉興山), 한학수, 섭외부에 박명환, 조직부에 이민홍(李敏弘) 등이 참여하였다. 현재 여기에 참여한 인물들이 [[일제강점기]]부터 [[원세훈 (1887년)|원세훈]]과 구체적으로 어떠한 연관을 맺으면서 활동했는지 이후의 행적은 어떠했는지 등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참고로 원세훈은 한국전쟁 와중 납북된다. 고려민주당은 강령으로 “사회민주주의 정권 수립”, “진보적 경제정책의 수립” 등을 내걸었고 당 정책으로 “민주공화정치의 실시와 의회제도 확립”, “의무교육 실시”, “진보적 농공 병행과 상업 개량 확립” 등을 규정했다. 사회주의적이면서도 부르주아민주주의적인 질서를 인정하는 ‘사회민주주의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선은 해방을 전후하여 발표된 중경 임시정부의 강령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ref name=":0" /> [[1945년]] [[8월 28일]] [[김병로]]·[[백관수]]·[[조병옥]]·[[함상훈]]·[[김약수]]·[[이인]] 등은 서울 계동에서 [[조선민족당]]을 창당했다. 그리고 이 소식을 들은 [[원세훈 (1887년)|원세훈]]의 고려민주당도 호응하면서 합당에 참여하게 된다.<ref name=":3">{{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2034|제목=조선민족당(朝鮮民族黨)|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ref><ref name=":1" /> [[1945년]] [[9월 6일]] [[대한민주당]](大韓民主黨, [[조선민족당]]의 이명으로 보인다)과 [[한국국민당 (1945년)|한국국민당]]이 한국민주당이라는 명칭으로 합당하기로 선언하였고, 강령, 정책을 발표하였다.<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dh_001_1945_09_06_0030|제목=한국민주당발기회 개최|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ref>{{웹 인용|url=http://db.history.go.kr/id/dh_001_1945_09_06_0020|제목=한국민주당 발기선언 및 강령, 정책|성=|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한국사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ref> [[1945년]] [[9월 16일]] [[대한민주당]]과 [[한국국민당 (1945년)|한국국민당]]이 통합하여 [[한국민주당]]이 결성되었다.<ref name=":1" /><ref name=":02" /> 즉, 처음엔 한국민주당도 좌우합작 형태로 탄생한 정당이었던 것이다. 식민지 시기 친일을 하지 않았던 국내의 우익인사들이 [[광복절|8·15 광복]] 직후 [[한국민주당|한민당]]에 대거 참여하게 된 데에는 [[공산주의]]에 반대한다는 이념적 동질성과 함께 민족통일전선을 표방한 [[건국준비위원회]]가 [[조선인민공화국]]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좌익 세력들에 의해 독선적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 주요 이유로 작용하였다.<ref name=":2" /> == 각주 == {{각주}}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 [[분류:대한민국의 정당]] {{퍼온문서|고려민주당}} 요약: 이음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음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고려민주당 (편집) 틀:Color (편집) 틀:각주 (편집) 틀:글씨 색 (편집) 틀: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 (편집) 틀:둘러보기 상자 (편집) 틀:둘러보기 상자/핵심 (편집) 틀:알림바 (편집) 틀:웹 인용 (편집) 틀:틀 기타 (편집) 틀:틀바 (편집) 틀:퍼온문서 (편집) 모듈:Citation/CS1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COinS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Configuration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Date validation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Identifiers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Utilities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Citation/CS1/Whitelist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Date2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ISOdate (원본 보기) (보호됨)모듈:Langname/data (편집) 모듈:Yesno (원본 보기) (보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