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인천광역시서울특별시를 잇는 광...)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인천국제공항철도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공항철도}}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번호    = 322
|구간    = [[서울역|서울]]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영업거리 = 64.3 km
|역수    = 11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공항철도주식회사]] (공항철도)<br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
|개통일  = 2007년 3월 23일
|폐지일  =
|경유노선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P]]<ref>고속철도용. 이전에는 [[TVM]] 사용</ref>, [[ATO]]
|차량기지 = [[용유차량사업소]] (공항철도)
|비고    =
}}
'''인천국제공항철도'''은 [[서울역]]과 [[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노선으로, 최초로 민간 자본을 투입하여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 개요 ==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에서 [[서울역]]까지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광역철도]][* 일반열차.] 겸 [[일반철도]][* 직통열차.]이다.
== 역사 ==
=== 1단계 개통 ===
=== 1단계 개통 ===
1단계 구간 개통은 [[2007년]]에 했으나, 이때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아닌 독자 요금제로써 다른 노선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하면 표를 새로 사야 했고, 인천국제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만 이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텅텅 비는 적자노선으로 전락했다.  
1단계 구간 개통은 2007년에 했으나, 이때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아닌 독자 요금제로써 다른 노선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하면 표를 새로 사야 했고, 인천국제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만 이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텅텅 비는 적자노선으로 전락했다.  
결국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2009년]]에 철수를 선언해버렸다.
결국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2009년에 철수를 선언해버렸다.
=== [[코레일공항철도]]와 2단계 완전개통 ===
=== [[코레일공항철도]]와 2단계 완전개통 ===
[[파일:코레일공항철도 로고1.jpg]]
[[파일:코레일공항철도 로고1.jpg]]
[youtube(mQ0aPZewttU)]
<youtube>mQ0aPZewttU</youtube>
결국, [[국토교통부]]는 [[한국철도공사]]를 통하여 [[공항철도주식회사]]를 인수해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로 재출범시켰다.
결국, [[국토교통부]]는 [[한국철도공사]]를 통하여 [[공항철도주식회사]]를 인수해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로 재출범시켰다.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김포공항역]]~[[서울역]])을 개통하였고, 이와 동시에 내륙 구간인 [[검암역]]~[[서울역]] 구간을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통합시켰다. 이 2단계 구간 개통 시점을 기점으로 공항철도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김포공항역]]~[[서울역]])을 개통하였고, 이와 동시에 내륙 구간인 [[검암역]]~[[서울역]] 구간을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통합시켰다. 이 2단계 구간 개통 시점을 기점으로 공항철도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코레일의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코레일에 직통열차의 발권을 위탁하였으며, 이덕에 코레일톡에서 예매가 가능했고 레일플러스 포인트까지 쓸 수 있었다고 한다.
코레일의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코레일에 직통열차의 발권을 위탁하였으며, 이덕에 코레일톡에서 예매가 가능했고 레일플러스 포인트까지 쓸 수 있었다고 한다.


날로 늘어가는 수요를 통해 코레일의 든든한 캐시카우가 될 뻔했으나...  
날로 늘어가는 수요를 통해 코레일의 든든한 캐시카우가 될 뻔했으나...  
=== 재민영화 ===
=== 재민영화 ===
[[2014년]], 한국철도공사는 코레일공항철도를 재매각시키기로 발표했다. 이 재매각은 당시 [[박근혜 정부]]에서 철도 민영화의 테스트를 위한 준비가 아니였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결국 매각은 진행되었으며, [[2015년]] [[6월]], KB국민은행-IBK기업은행 컨소시엄이 "KB공항철도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이라는 투자법인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지분을 매수했다.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한국철도공사 자회사에서 분리됨으로 인하여 코레일톡을 통한 직통열차 예매가 불가능해졌다.
2014년, 한국철도공사는 코레일공항철도를 재매각시키기로 발표했다. 이 재매각은 당시 [[박근혜 정부]]에서 철도 민영화의 테스트를 위한 준비가 아니였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결국 매각은 진행되었으며, 2015년 6월, KB국민은행-IBK기업은행 컨소시엄이 "KB공항철도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이라는 투자법인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지분을 매수했다.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한국철도공사 자회사에서 분리됨으로 인하여 코레일톡을 통한 직통열차 예매가 불가능해졌다.
=== 연혁 ===
* 2001년 3월 27일: 착공
* 2007년 3월 23일: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구간 개통
* 2010년 12월 29일: [[서울역|서울]] ~ 김포공항 구간 개통
* 2011년 11월 30일: [[공덕역]] 개업
* 2014년 5월 9일: 노선을 [[도시철도]]에서 [[일반철도]]로 변경하고, 인천국제공항선과 용유기지선으로 분리하여 사업용 철도노선 및 철도거리표에 등재<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40호</ref>
* 2014년 6월 21일: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 2014년 6월 30일: [[수색직결선]] 개통과 함께 [[KTX]] 운행 개시
* 2015년 3월 25일: 서울역 환승통로 개통
* 2016년 3월 26일: [[영종역]] 개통
* 2017년 6월 29일: 인천국제공항 역명을 '''인천공항1터미널'''로 변경하고, [[마곡나루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및 [[용유차량삼각선]] 고시<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ref>
*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 2018년 7월 27일: KTX 정규노선 운행 중단
* 2018년 9월 29일: [[마곡나루역]] 개통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17에서 322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2020년 4월 1일: 코로나19  유행으로 직통열차 운행을 중지하고 일반열차를 감축하여 운행
* 2022년 5월 30일: 직통열차 운행 재개
 
== 운행 ==
=== 인천국제공항철도 ===
;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직통열차]]
: [[서울역]]과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사이를 무정차 운행한다.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할인은 적용되지 않는다.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일반열차]]
: 1단계 개통시에는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았고, 김포공항까지만 운행해서 별다른 수요창출이 어려운 이유로 이용객 숫자가 바닥을 치는 [[공기수송]]의 대명사였으나, 2단계 개통 및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제를 적용받게 디면서 승객이 증가했다. 특히 [[김포공항역]]에서는 1단계 개통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과 환승이 가능<ref>그것도 무려 같은 방향은 평면환승이다. 타이밍이 잘 맞는다면 공항철도 열차에서 내려서 바로 앞에 도착하는 9호선 열차로 10초 이내에 환승이 가능하다.</ref>해졌고, 급행열차를 이용하면 [[강남구|강남]]까지 대략 30분 언저리면 도착하기 때문에 인천 북부 지역에서 강남권으로 이동하려는 출퇴근 수요가 폭증하였다. 김포공항역이 아니더라도 [[홍대입구역]]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역]]은 사대문안 도심에 진입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이면 입석까지 꽉 채워서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수요가 폭증했다. 1단계 이후 공기수송의 대명사에서 2단계 개통 이후 폭발적인 출퇴근 및 통학 수요로 [[상전벽해]]를 경험했지만, 본연의 목적인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들은 출퇴근 시간에 공항철도를 타야할 경우 쾌적한 이동은 어렵게 되었다.
: [[서울역]]~[[청라국제도시역]] 구간은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어 통합환승 요금제가 적용되고, [[청라국제도시역]]~[[인천공항2터미널역]] 구간은 공항철도가 부여하는 별도의 운임을 추가한다. 정기권의 경우 서울~청라국제도시는 수도권 통합정기권, 청라국제도시~인천공항까지는 공항철도 자체 정기권을 활용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선의 역간거리가 상당히 긴 관계로 일반열차지만 운행속도는 어지간한 수도권 전철 급행열차의 속도 이상으로 고속운행이 가능하다.
 
=== 고속철도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수색직결선]]을 통해 [[KTX]]가 투입되었다. 올림픽 이후 수요 저조로 정규 운행은 폐지되었고, 국제행사가 있을 경우 [[임시열차]]가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1
| style="text-align: right;" | 0.0
| [[서울역|서울]]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경의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rowspan="4" | {{세로|[[서울특별시]]}}
| [[용산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2
| style="text-align: right;" | 3.3
| [[공덕역|공덕]]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 />[[용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rowspan="3" | [[마포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3
| style="text-align: right;" | 6.1
| [[홍대입구역|홍대입구]]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 />[[용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4
| style="text-align: right;" | 9.5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 />[[경의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3.6
| (분기점)
| style="text-align: left;" | [[수색직결선]]  (연결)
| colspan="2" | [[경기도]]<br />[[고양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42
| style="text-align: right;" | 18.1
| [[마곡나루역|마곡나루]]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rowspan="2" colspan="2" | [[서울특별시]]<br />[[강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5
| style="text-align: right;" | 20.4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김포}} [[김포골드라인]]<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6
| style="text-align: right;" | 27.0
| [[계양역|계양]]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rowspan="8" | {{세로|[[인천광역시]]}}
| [[계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7
| style="text-align: right;" | 32.5
| [[검암역|검암]]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2}}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rowspan="2" | [[인천 서구|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71
| style="text-align: right;" | 37.3
| [[청라국제도시역|청라국제도시]]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72
| style="text-align: right;" | 47.6
| [[영종역|영종]]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인천 중구|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8
| style="text-align: right;" | 51.1
| [[운서역|운서]]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09
| style="text-align: right;" | 55.4
| [[공항화물청사역|공항화물청사]]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10
| style="text-align: right;" | 58.0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자기부상}}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A11
| style="text-align: right;" | 63.8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 style="text-align: left;" |
|-
|}
 
== 지선 ==
* [[용유차량기지선]]
* [[용유차량삼각선]]
 
== LCD ==
LCD에 나오는 광고를 [[연합뉴스]]가 관리한다. 연합뉴스 뉴스도 나온다. [https://www.yna.co.kr/advertisement/arex]
 
== 기타 ==
청이음과 ENX는 공항철도가 인천공항과 인천, 서울을 빠르게 연결하듯이 민주당과 청년, 청소년을 빠르게 연결한다는게 목표라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minjudang/1624064]
이 문서도 관리자가 리브레 위키에서 퍼온 문서이다.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인천국제공항철도]]
{{퍼온문서|틀:철도 노선 정보|||인천국제공항|https://librewiki.net/wiki/%EC%9D%B8%EC%B2%9C%EA%B5%AD%EC%A0%9C%EA%B3%B5%ED%95%AD%EC%84%A0}}

2023년 3월 19일 (일) 06:02 기준 최신판

인천국제공항철도
노선 정보
나라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번호 322
구간 서울 ~ 인천공항2터미널
영업거리 64.3 km
역 수 11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공항철도주식회사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
개통일 2007년 3월 23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P[1], ATO
차량기지 용유차량사업소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역을 잇는 노선으로, 최초로 민간 자본을 투입하여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1단계 개통[편집 | 원본 편집]

1단계 구간 개통은 2007년에 했으나, 이때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아닌 독자 요금제로써 다른 노선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하면 표를 새로 사야 했고, 인천국제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만 이어주는 역할을 했기 때문에 텅텅 비는 적자노선으로 전락했다. 결국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2009년에 철수를 선언해버렸다.

코레일공항철도와 2단계 완전개통[편집 | 원본 편집]

코레일공항철도 로고1.jpg 결국, 국토교통부한국철도공사를 통하여 공항철도주식회사를 인수해 코레일공항철도주식회사로 재출범시켰다.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김포공항역~서울역)을 개통하였고, 이와 동시에 내륙 구간인 검암역~서울역 구간을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통합시켰다. 이 2단계 구간 개통 시점을 기점으로 공항철도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코레일의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코레일에 직통열차의 발권을 위탁하였으며, 이덕에 코레일톡에서 예매가 가능했고 레일플러스 포인트까지 쓸 수 있었다고 한다.

날로 늘어가는 수요를 통해 코레일의 든든한 캐시카우가 될 뻔했으나...

재민영화[편집 | 원본 편집]

2014년, 한국철도공사는 코레일공항철도를 재매각시키기로 발표했다. 이 재매각은 당시 박근혜 정부에서 철도 민영화의 테스트를 위한 준비가 아니였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결국 매각은 진행되었으며, 2015년 6월, KB국민은행-IBK기업은행 컨소시엄이 "KB공항철도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이라는 투자법인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지분을 매수했다. 이후 코레일공항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한국철도공사 자회사에서 분리됨으로 인하여 코레일톡을 통한 직통열차 예매가 불가능해졌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인천국제공항철도[편집 | 원본 편집]

직통열차
서울역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사이를 무정차 운행한다.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할인은 적용되지 않는다.
일반열차
1단계 개통시에는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았고, 김포공항까지만 운행해서 별다른 수요창출이 어려운 이유로 이용객 숫자가 바닥을 치는 공기수송의 대명사였으나, 2단계 개통 및 수도권 통합환승 요금제를 적용받게 디면서 승객이 증가했다. 특히 김포공항역에서는 1단계 개통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9호선과 환승이 가능[5]해졌고, 급행열차를 이용하면 강남까지 대략 30분 언저리면 도착하기 때문에 인천 북부 지역에서 강남권으로 이동하려는 출퇴근 수요가 폭증하였다. 김포공항역이 아니더라도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역은 사대문안 도심에 진입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이면 입석까지 꽉 채워서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수요가 폭증했다. 1단계 이후 공기수송의 대명사에서 2단계 개통 이후 폭발적인 출퇴근 및 통학 수요로 상전벽해를 경험했지만, 본연의 목적인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들은 출퇴근 시간에 공항철도를 타야할 경우 쾌적한 이동은 어렵게 되었다.
서울역~청라국제도시역 구간은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어 통합환승 요금제가 적용되고, 청라국제도시역~인천공항2터미널역 구간은 공항철도가 부여하는 별도의 운임을 추가한다. 정기권의 경우 서울~청라국제도시는 수도권 통합정기권, 청라국제도시~인천공항까지는 공항철도 자체 정기권을 활용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선의 역간거리가 상당히 긴 관계로 일반열차지만 운행속도는 어지간한 수도권 전철 급행열차의 속도 이상으로 고속운행이 가능하다.

고속철도[편집 | 원본 편집]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수색직결선을 통해 KTX가 투입되었다. 올림픽 이후 수요 저조로 정규 운행은 폐지되었고, 국제행사가 있을 경우 임시열차가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A01 0.0 서울 경부선: KTX,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선: 경의·중앙선
1호선, 4호선
GTX A노선 (예정)
용산구
A02 3.3 공덕 5호선, 6호선
용산선: 경의·중앙선
마포구
A03 6.1 홍대입구 2호선
용산선: 경의·중앙선
A04 9.5 디지털미디어시티 6호선
경의선: 경의·중앙선
13.6 (분기점) 수색직결선 (연결) 경기도
고양시
A042 18.1 마곡나루 9호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A05 20.4 김포공항 5호선, 9호선, 김포골드라인
서해선 (예정)
A06 27.0 계양 인천 1호선 계양구
A07 32.5 검암 인천 2호선 서구
A071 37.3 청라국제도시 7호선 (예정)
A072 47.6 영종 중구
A08 51.1 운서
A09 55.4 공항화물청사
A10 58.0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A11 63.8 인천공항2터미널

지선[편집 | 원본 편집]

LCD[편집 | 원본 편집]

LCD에 나오는 광고를 연합뉴스가 관리한다. 연합뉴스 뉴스도 나온다. [1]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청이음과 ENX는 공항철도가 인천공항과 인천, 서울을 빠르게 연결하듯이 민주당과 청년, 청소년을 빠르게 연결한다는게 목표라고 한다. [2] 이 문서도 관리자가 리브레 위키에서 퍼온 문서이다.

각주

  1. 고속철도용. 이전에는 TVM 사용
  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40호
  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
  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5. 그것도 무려 같은 방향은 평면환승이다. 타이밍이 잘 맞는다면 공항철도 열차에서 내려서 바로 앞에 도착하는 9호선 열차로 10초 이내에 환승이 가능하다.

틀:탭/styles.css 문서는 틀스타일에 대해 "세니타이즈드 CSS" 콘텐츠 모델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모델은 "위키텍스트"입니다)

틀:탭/styles.css 문서는 틀스타일에 대해 "세니타이즈드 CSS" 콘텐츠 모델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모델은 "위키텍스트"입니다)

이 문서는 인천국제공항틀:철도 노선 정보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