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민주주의}}
{{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줄임말로 '''사민주의'''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며, 간접 민주제를 위한 정책과 소득 재분배 정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이익과 복지 정책을 포함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며 개량적 사회주의 이념이다.따라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를 더 뛰어난 민주주의적, 평등주의적, 연대주의적 결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민주주의는 [[북유럽]]과 남유럽, 특히 북유럽 국가의 노르딕 모델에서 20세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사회민주주의''', 줄임말로 '''사민주의'''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며, 간접 민주제를 위한 정책과 소득 재분배 정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이익과 복지 정책을 포함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며 개량적 사회주의 이념이다.따라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를 더 뛰어난 민주주의적, 평등주의적, 연대주의적 결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민주주의는 [[북유럽]]과 남유럽, 특히 북유럽 국가의 노르딕 모델에서 20세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 개요 ==
사회민주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되, 그 안에 내포된 [[혁명적 사회주의]]를 배격하고, 간접 민주제 정치 체제를 바탕으로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로 변형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britannica.com/topic/social-democracy|title=Social democracy|publisher=''Encyclopædia Britannica''|accessdate=10 August 2015}}</ref> 서유럽 초기의 전후 사회민주주의 정당은 소비에트 연방의 레닌주의 정치・경제 모델을 거부하고, 사회주의로의 대안적인 길이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타협을 약속했다.{{sfn|Adams|1993|pp=102-103|ps=: "The emergence of social democracy was partly a result of the Cold War. People argued that if the Stalinist Soviet empire, where the state controlled everything, showed socialism in action, then socialism was not worth having. [...] The consensus policies of a mixed and managed economy and the welfare state, developed by the post-war Labour government, seemed in themselves to provide a basis for a viable socialism that would combine prosperity and freedom with social justice and the possibility of a full life for everyone. They could be seen as a compromise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대표적으로 [[자본가]] 및 정부와 노동자가 계급타협을 한 [[스웨덴]]의 살트셰바덴 협약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의 인정을 토대로 하는 [[혼합 경제]]를 받아들였는데, 공공의 소유로 하는 것은 필수적인 공익 설비와 공공 서비스 등 소수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사회민주주의는 [[케인스 경제학]], 국가 개입주의, [[복지 국가]]와 연계되게 되었으며, 동시에 자본주의 체제를 질적으로 다른 사회주의 체제로 변혁을 통해 급격히 교체한다는 이전의 목표를 포기하게 되었다.<ref>{{harvnb|Miller|1998|p=827}}: "In the second, mainly post-war, phase, social democrats came to believe that their ideals and values could be achieved by reforming capitalism rather than abolishing it. They favored a mixed economy in which most industries would be privately owned, with only a small number of utilities and other essential services in public ownership."</ref>{{sfn|Jones|2001|p=1410|ps=: "In addition, particularly since World War II, distinctions have sometimes been made between social democrats and socialists on the basis that the former have accepted the permanence of the mixed economy and have abandoned the idea of replacing the capitalist system with a qualitatively different socialist society."}}{{sfn|Heywood|2012|pp=125–128|ps=: "As an ideological stance, social democracy took shape around the mid-twentieth century, resulting from the tendency among western socialist parties not only to adopt parliamentary strategies, but also to revise their socialist goals. In particular, they abandoned the goal of abolishing capitalism and sought instead to reform or ‘humanize’ it. Social democracy therefore came to stand for a broad balance between the market economy, on the one hand, and state intervention, on the other."}}
현대 사회민주주의는 노인, 아동 보호, 교육, 건강 관리, 교육, 의료, 근로자 보상 등의 보편적인 공공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 불평등을 억제하는 정책에 전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민주주의 운동은 [[노동 운동]] 및 [[노동 조합]]과의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으며, 노동자들과 다른 경제 이해 관계자들을 위한 공동 결정의 형태로 정치권을 넘어 전 사회로 민주주의의 영역을 넓힌다.{{sfnm|1a1=Meyer|1a2=Hinchman|1y=2007|1p=91|2a1=Upchurch|2a2=Taylor|2a3=Mathers|2y=2009|2p=51}}
우익 경제학을 사회민주주의 복지 정책과 융합시키는 것을 표면상의 목표로 삼는 [[제3의 길|제 3의 길]]은 1990년대에 발전되었고 [[독일 사회민주당]]과 연관이 있었던 이데올로기이지만 함부르크 강령을 통해 공식적으로 결별하였다. 일부 분석가들은 제 3의 길을 [[신자유주의]] 운동으로 정의한다.{{sfn|Romano|2006|p=1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12월 2일 (토) 23:26 판

사회민주주의, 줄임말로 사민주의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며, 간접 민주제를 위한 정책과 소득 재분배 정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이익과 복지 정책을 포함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며 개량적 사회주의 이념이다.따라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를 더 뛰어난 민주주의적, 평등주의적, 연대주의적 결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민주주의는 북유럽과 남유럽, 특히 북유럽 국가의 노르딕 모델에서 20세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개요

사회민주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되, 그 안에 내포된 혁명적 사회주의를 배격하고, 간접 민주제 정치 체제를 바탕으로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로 변형되었다.[1] 서유럽 초기의 전후 사회민주주의 정당은 소비에트 연방의 레닌주의 정치・경제 모델을 거부하고, 사회주의로의 대안적인 길이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타협을 약속했다.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Footnotes/anchor_id_list' not found. (대표적으로 자본가 및 정부와 노동자가 계급타협을 한 스웨덴의 살트셰바덴 협약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의 인정을 토대로 하는 혼합 경제를 받아들였는데, 공공의 소유로 하는 것은 필수적인 공익 설비와 공공 서비스 등 소수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사회민주주의는 케인스 경제학, 국가 개입주의, 복지 국가와 연계되게 되었으며, 동시에 자본주의 체제를 질적으로 다른 사회주의 체제로 변혁을 통해 급격히 교체한다는 이전의 목표를 포기하게 되었다.[2]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Footnotes/anchor_id_list' not found.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Footnotes/anchor_id_list' not found.

현대 사회민주주의는 노인, 아동 보호, 교육, 건강 관리, 교육, 의료, 근로자 보상 등의 보편적인 공공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 불평등을 억제하는 정책에 전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민주주의 운동은 노동 운동노동 조합과의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으며, 노동자들과 다른 경제 이해 관계자들을 위한 공동 결정의 형태로 정치권을 넘어 전 사회로 민주주의의 영역을 넓힌다.틀:Sfnm

우익 경제학을 사회민주주의 복지 정책과 융합시키는 것을 표면상의 목표로 삼는 제 3의 길은 1990년대에 발전되었고 독일 사회민주당과 연관이 있었던 이데올로기이지만 함부르크 강령을 통해 공식적으로 결별하였다. 일부 분석가들은 제 3의 길을 신자유주의 운동으로 정의한다.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Footnotes/anchor_id_list' not found.

같이 보기

  1. “Social democracy”.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8월 10일에 확인함. 
  2. 틀:Harvnb: "In the second, mainly post-war, phase, social democrats came to believe that their ideals and values could be achieved by reforming capitalism rather than abolishing it. They favored a mixed economy in which most industries would be privately owned, with only a small number of utilities and other essential services in public own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