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초기[편집 | 원본 편집]

문재인 정부3기 신도시 건설계획과 연관되어 교통망 확충에 대한 구상을 담은 광역교통 2030 비전 선포[1]에 언급된 내용이다. 정확한 노선 확정은 아니지만 서울 지하철 9호선급행과 유사한 성격으로 한강 이남 동서축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구상중이었다. 인천광역시 서구[2], 김포시 한강신도시를 경유하여 서울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여의도), 동작구, 강남구, 강동구를 거쳐 하남시(미사강변도시)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생각되었다. 이를 두고 인천광역시 청라국제도시, 성남시, 이천시 등 지자체들의 유치전이 상당히 치열한 양상을 보였다.

이후 인천광역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시작하여 청라국제도시 등 인천시가지를 관통하여 김포에서 내려오는 노선과 접속하는 Y자형 노선을 제안하는 등 지자체들간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노선이 제시되었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D노선)[편집 | 원본 편집]

2021년 4월 22일 진행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 자리에서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D노선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라는 가칭으로 정해졌으며, 서울시는 진입하지 않고 김포부천을 연결하는 지선 형태로 공개되었다.[3] 부천종합운동장에서 기존에 건설되는 B노선과 접속하는 형태가 유력하다. 최소 평면환승, 최대 B노선 직결 등 두 가지 형태로 노선 접속이 가능할 전망. 계획이 발표된 후 지자체들의 거센 반발이 쏟아졌다. 정부는 이유로 2,7,9호선과의 중복된다는 점과 2호선과 너무 비슷해서 2호선이 적자가 된다는 점, 김포구간에서 강남으로 가는 통행량이 강북으로 가는 통행량보다 적다는 점을 들었다.

버스중 직행좌석버스가 GTX에 쉽게 비교된다. 김포시에서 출발하는 직행좌석버스를 찾아보면 강남으로 가는 버스는 1대(+야간1대)밖에 없고, 대다수가 강북(서울역, 신촌), 여의도(영등포, 당산)로 간다. [4] 부천시 버스에는 서울시에 들어오는 직행좌석버스가 없는데, 부천시 버스중 이용객 상위 10개의 버스를 살펴보면 여의도(영등포)가 종점이거나, 가산디지털단지로 가거나, 1호선 경인선 라인으로 가거나, 서해선 라인으로 가거나, 대장홍대선 라인으로 간다. 강남으로 가는 노선은 없었다. [5]

서울역과 여의도로 가는 수요는 GTX-B로 환승하거나, 직결하면 해결된다. 부천시의 수요도 마찬가지이고, 다른 방향의 수요는 서해선, 대장홍대선등이 지어지면 해결된다. 애초에 다른 방향 수요는 GTX-D 방향도 아니다.

검단지구에 인천 광역버스가 지나간다. 반은 강북(서울역, 신촌)으로 가고, 반만 강남으로 간다. 강남으로 가는것도 GTX-D 라인으로 가는것이 아니고, 신분당선 라인인 강남대로로 간다. GTX-D 라인과 만나는 정류장은 강남역 하나뿐이다. 이 정류장은 신논현역과도 가깝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역 번호 정거장 접속 노선
신설 장기 김포골드라인
검단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계양 공항철도
인천 1호선
대장
부천종합운동장 7호선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직결 (미정)

서울시 남부 구간 대체 방법[편집 | 원본 편집]

2, 7, 9호선이 있기 때문에 필요없다는 의견도 있다.

7호선 급행: 7호선 급행은 서울시에서 검토했던 노선이다.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나온다. 배차간격은 일반열차 기준으로는 2배 늘어나고, 급행열차 기준으로는 조금 늘어나는 단점은 있다. 하지만 비용대비편익이 2가 넘는다. GTX 공사는 비용대비편익이 낮게 나오는데, 7호선 급행도 돈을 더 써서 대피선을 더 만들면 배차간격을 줄일 수 있다.

9호선 증결: 2023년 6량으로 운행되고 있는 9호선을 8량으로 증결하는 방법이 있다. 승강장은 스크린도어 공사만 하면 된다. 비용대비편익은 낮게 나왔지만 GTX 공사를 하는 것보다는 돈이 적게 들어간다.

9호선 특급: 9호선의 특급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2020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석사논문에 따르면 추가공사 없이 배차간격을 조금 늘려서 특급운행이 개능하다고 한다. 급행열차가 사용하지 않는 대피선을 활용하면 특급열차 운행이 가능하다. 논문에 나오지 않았지만 대피역을 추가로 건설하면 기존 배차간격 그대로 특급열차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도 GTX 보다는 쌀 것이다.

윤석열 정부[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1월 25일 구체적인 노선을 공개했다.

윤석열[편집 | 원본 편집]

대선 당시의 공약이다.

이재명[편집 | 원본 편집]

틀:탭/styles.css 문서는 틀스타일에 대해 "세니타이즈드 CSS" 콘텐츠 모델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모델은 "위키텍스트"입니다)

틀:탭/styles.css 문서는 틀스타일에 대해 "세니타이즈드 CSS" 콘텐츠 모델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모델은 "위키텍스트"입니다)

  1. GTX D노선 ‘솔솔’…시발점 어디?
  2. 해당 지역(김포시 양촌읍 일부도 포함)에 쓰레기 수도권 매립지가 있어서 지역주민과 인천시는 보상대책의 일환으로 GTX D노선의 유치를 강력하게 주장했다.
  3. 강남 안가는 GTX-D…인천 청라·검단·영종 일제히 반발, 연합뉴스, 2021년 4월 22일
  4. 2023년 1월 기준
  5. [1] 2019년 블로그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