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국민당
中國國民黨
Emblem of the Kuomintang.svg
로고
약칭 KMT
영어명 Chinese Nationalist Party
영어명 Kuomintang
중국어명 中國國民黨
중국어명 國民黨
표어 삼민주의
상징색 파랑
이념 보수주의[1]
삼민주의[2][3][4]
중화민족주의
반공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스펙트럼 우익[5][6] ~ 극우[7]
당원  (2020년) 345,971명
당직자
당수 주리룬
대표 주리룬
의장 주리룬
총재 장제스
총비서 황젠팅
원내대표 쩡밍종
원내총무 완메이링
창당준비위원장 쑨원
주석 주리룬
비서장 황젠팅
입법원 당단 총소집인 쩡밍종
역사
창당 1894년 11월 24일:
흥중회 (興中會)
1905년 8월 20일:
중국동맹회 (中國同盟會)
1912년 8월 25일:
국민당 (國民黨)
1914년 7월 8일:
중화혁명당 (中華革命黨)
1919년 10월 10일:
중국국민당 (中國國民黨)
선행조직 흥중회
내부 조직
중앙당사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중산 구, No.232~234, Sec. 2, BaDe Rd
정책연구소 국가 정책 재단
기관지 중앙 데일리 뉴스
국민당 뉴스 네트워크
학생조직 혁명실천연구원
청년조직 중국국민당 청년단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아시아-태평양 민주연합
의석
입법원
52 / 113
직할시/현시장
14 / 22
직할시/현시의원
393 / 912
Naval Jack of the Republic of China.svg
당기
1945년 3월 촬영된 중국국민당의 지도자 장제스
1924년에 열린 중국국민당의 제 1회 당 대회
1938년, 티베트에서 촬영된 사진. 중국국민당의 당기가 보인다.
1942년, 우루무치 시 신장에서의 중국국민당
2006년까지 타이베이시에 존재했던 중국국민당의 이전 중앙 당사
200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당시, 중국국민당과 범람연맹 지지 세력들의 시위
2006년 6월에 촬영된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현재 중국국민당의 중앙 당사
중국국민당은 전 세계의 차이나타운에 사무당사를 두는데, 미국의 중국국민당 중앙 당사는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에 위치해 있다.
캐나다 밴쿠버차이나타운에 위치한 중국국민당의 당사
북벌 성공 이후 1928년 7월 6일에 촬영된 중국국민당의 당원들. 장제스 등 여러 장군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국국민당(Kuomintang of China, 중국어 정체자: 中國國民黨, 병음: Zhōngguó Guómíndǎng 중궈궈민당[*])은 중화민국의 정당으로, 이전의 중화혁명당(1914)을 근대적 정당으로 개편해 1919년에 창당하였다. 1928년부터 2000년까지는 중화민국의 유일 집권 정당이었으나 2000년에 민주진보당에게 대권을 내주었고, 현재도 중화민국 입법원에서 제1 야당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집권 여당이였으나 두번째 정권교체를 한 차이잉원이 집권을 하게 되면서 야당으로 변했다. 보수주의 정당으로써 차이잉원을 견제하는 야당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정당이다.

중국국민당은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세운 주요 세력들 중 하나인 중국동맹회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911년에 신해혁명을 통해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쑨원쑹자오런 등이 동맹회를 중국국민당으로 개편하였고, 초기에는 쑨원이 임시 총통이었으나 이후 위안스카이 장군에게 총통직을 이임하였다. 1916년에 위안스카이가 세상을 떠나자, 중국 대륙에서는 군벌들이 각기 할거하는 군벌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에 쑨원은 장제스를 시켜 북벌을 실시, 대륙 대부분을 장악하고 난징에 정부를 세웠다. 이후 중국은 중화민국의 지배 하에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1937년에 2차 중일전쟁이 터지면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중화민국은 이 전쟁을 거치며 막대한 피해를 입고 지방에 대한 통제권이 약해졌으며, 그 틈을 타 힘을 키운 공산당 반란 세력들이 국공내전을 일으켜 중화민국 정부를 타이완섬으로 몰아냈다. 장제스가 주도하던 중국국민당은 타이완으로 국부천대한 이후에도 1인 독재를 계속하였고, 중화민국은 1971년까지 UN의 상임이사국 지위를 유지하였다.

중화민국은 1986년까지 장제스 총통의 아들인 장징궈 총통의 치하에서 독재 정치가 계속되었으나, 1990년대부터 리덩후이 총통이 등장하며 일련의 민주화 정책을 실시하며 점차 개혁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후 중국국민당은 민주진보당 등의 정당들과 대권을 번갈아가면서 거머쥐었는데, 2008년과 2012년에는 마잉주 총통이 연이어 집권하기도 했다. 허나 2016년 총선과 대선에서 중국국민당은 민주진보당에게 패했으며, 민주진보당의 차이잉원 후보가 새로운 총통에 올랐다.

중국국민당의 기본 정강은 쑨원이 세운 삼민주의이다. 국민당은 국제민주연합의 일원이며, 친민당 등의 정당들과 함께 중국 본토와의 원만한 관계와 재통일을 중시하는 범람연맹에 속해있다. 그러나 중화민국 내에서 반중 감정이 심해지자 국민당도 통일보다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기본 틀을 잡고 있다. 국민당은 92공식에 의거하여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고 있으나, 중국국민당이 주장하는 합법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니라 중화민국이다.

틀:군벌 시대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중국국민당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
  1. Martin L Lasater, 편집. (2019). 《The Changing Of The Guard: President Clinton And The Security Of Taiwan》. Routledge. 
  2. 政策綱領. Kmt.org.tw. 2016년 6월 19일에 확인함. 
  3. The Editors of Encyclopædia Britannica.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Encyclopædia Britannica》. 
  4. Mary C. Wright (1955). 《From Revolution to Restoration: The Transformation of Kuomintang Ideology》.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515–532쪽. 
  5. “New face for KMT in Taiwan”. 《The Australian》. The problems for the centre-right KMT in retaining the presidency over the centre-left DPP… 
  6. Qi, Dongtao (2013년 11월 11일). “Globalization, Social Justice Issues, Political and Economic Nationalism in Taiwan: An Explanation of the Limited Resurgence of the DPP during 2008–2012”. 《The China Quarterly216: 1018–1044. doi:10.1017/S0305741013001124. Furthermore, the studies also suggest that the DPP, as a centre-left party opposed to the centre-right KMT, has been the leading force in addressing Taiwan's various social justice issues. 
  7. 틀:잡지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