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JongSu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8번째 줄: | 118번째 줄: | ||
; [[현대자동차]] | ; [[현대자동차]] | ||
* [[현대 그린시티]] | * [[현대 그린시티]] | ||
* [[현대 유니버스]] | |||
; [[에디슨모터스]] | ; [[에디슨모터스]] | ||
195번째 줄: | 196번째 줄: |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
[[분류: |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
[[분류:공기업]] | [[분류:공기업]] | ||
[[분류:1998년 설립]] | [[분류:1998년 설립]] | ||
[[분류:인천광역시의 교통]] | [[분류:인천광역시의 교통]] | ||
{{퍼온문서|인천교통공사|||리브레 위키|https://librewiki.net/wiki/%EC%9D%B8%EC%B2%9C%EA%B5%90%ED%86%B5%EA%B3%B5%EC%82%AC}} | {{퍼온문서|인천교통공사|||리브레 위키|https://librewiki.net/wiki/%EC%9D%B8%EC%B2%9C%EA%B5%90%ED%86%B5%EA%B3%B5%EC%82%AC}} |
2024년 7월 23일 (화) 13:18 기준 최신판
인천교통공사 | |
---|---|
법인 정보 | |
산업분야 | 운수서비스업 |
창립 | 1998년 4월 15일 |
본사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인로 674 |
핵심인물 | 이중호(사장) |
종목코드 | 비상장 |
자본금 | 40,000,000,000원 |
매출액 | 23,623,834,448원 |
자산총액 | 202,044,682,994원 (이상 2007년.) |
주요주주 | 인천광역시청 |
종업원 | 248명 (2008년) |
웹사이트 | http://www.ictr.or.kr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인천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운영을 맡는 인천광역시 산하의 지방 공기업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위치한다.
주요 업무[편집 | 원본 편집]
- 인천 도시철도 1~2호선 운영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운영
- 월미은하레일 구축 사업
- 의정부 경전철 역무 관리 및 선로유지보수 운영
- 인천교통연수원 운영
- 인천시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운영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운영
- 장애인콜택시 운행
- 청라 ~ 화곡 간선급행버스 운영
역사[편집 | 원본 편집]
2011년 11월 28일에 인천메트로가 (구)인천교통공사를 합병하며 인천교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히였다.
- (구)인천교통공사
- 인천메트로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운영을 담당할 목적으로 1992년 6월 30일에 설립된 인천광역시 지하철 건설본부가 시초이다. 1993년 7월 5일에 지하철 착공에 들어갔으며, 1997년 11월 20일 지하철공사설치조례가 공포되고 이 조례에 의하여 1998년 2월 20일에 설립인가를 받아 1998년 4월 15일에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창립되어 법인설립이 등기되었다. 2009년 10월 6일에 인천메트로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92년 6월 30일: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3년 7월 5일: 지하철 건설공사 착공
- 1997년 11월 20일: 지하철공사설치조례 공포
- 1998년 2월 20일: 지하철공사 설립인가, 지하철공사정관 공포
- 1998년 4월 15일: 공사 창립
- 1998년 5월 21일: 노동조합 창립
- 1999년 10월 1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박촌~동막 개통)
- 1999년 12월 7일: 귤현역 개통
- 2000년 5월 2일: 고객서비스현장 선포
- 2004년 8월 1일: 불연내장재 교체열차 운행
- 2006년 7월 1일: 궁도선수단 창단
- 2007년 3월 16일: 계양역 개통
- 2008년 7월 9일: 스크린도어 개통행사(부평역, 인천터미널역)
- 2009년 2월 11일: 스크린도어 개통행사(작전역, 예술회관역)
- 2009년 6월 1일: 송도 연장구간 개통식
- 2010년 6월 24일: 의정부 경전철 관리운영계약 체결
- 2011년 12월 28일: 합병(인천메트로 + 인천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2012년 9월 26일: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운영권 확보
- 2013년 3월 28일: 개통이후 수송인원 10억명 돌파
- 2013년 7월 11일: 청라~강서 간 BRT사업 운영
- 2014년 9월 : 전 역사 승강장안전문(PSD) 설치
- 2016년 7월 30일 : 인천 도시철도 2호선(검단오류~운연(서창)) 개통
운영 노선[편집 | 원본 편집]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서울 도시철도 7호선 인천구(삼산체육관 - 석남)
- 서울 도시철도 7호선 부천구간(까치울 - 상동)[2]
순환버스[편집 | 원본 편집]
- 7번 : 청라차고지 ~ 신포역 (2016년 7월 30일 신설, 11월 1일에 작전동 경유했다가 2016년 12월 3일 변경)
- 51-1번 : 송도공영차고지 ~ 논현지구
- 91번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포츠센터
- 92번 : 송도공영차고지 ~ 엑스포빌리지10단지
BRT[편집 | 원본 편집]
공영버스[편집 | 원본 편집]
자가용 유상운송의 형태로 운행 중이다.
폐선 및 이관된 노선[편집 | 원본 편집]
- 순환 31번 : 신세계 ~ 주안역 (2016년 7월 30일 해성운수로 이관)
- 순환 43번 : 청학동 ~ 농산물센터 (2016년 7월 30일 폐선)
- 순환 51-2번 : 동막역 ~ 인천논현역 ~ 소래포구역 ~ 신연수역 ~ 동막역 (2016년 7월 30일 폐선)
- 순환 81번 : 1차풍림아이원 ~ 대인고등학교 (2016년 7월 30일 폐선)
- 순환 82번 : 삼보해피타임 ~ 귤현현대아이파크 (2016년 7월 30일 폐선)
- 720번 : 연안부두 ~ (구)터미널 ~ 인천역 ~ 월미도 (2008-11-01 ~ 2014-11-01)
보유차량[편집 | 원본 편집]
인천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인천시내버스[편집 | 원본 편집]
- 우진산전
- 우진산전 아폴로2000
관리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관리역 | 소속역 | 역 수 |
---|---|---|
1호선역무사업소 | ||
계양관리역 | 계양역, 귤현역, 박촌역, 임학역, 계산역,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 7 |
부평관리역 | 갈산역, 부평구청역, 부평시장역, 부평역, 동수역, 부평삼거리역, 간석오거리역, 인천시청역(1호선) | 8 |
원인재관리역 | 예술회관역, 인천터미널역, 문학경기장역, 선학역, 신연수역, 원인재역, 동춘역 | 7 |
인천대입구관리역 | 동막역, 캠퍼스타운역, 테크노파크역, 지식정보단지역, 인천대입구역, 센트럴파크역, 국제업무지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8 |
2호선역무사업소 | ||
검단오류관리역 | 검단오류역, 왕길역, 검단사거리역, 마전역 | 4 |
검암관리역 | 완정역, 독정역, 검암역, 검바위역 | 4 |
가정관리역 | 아시아드경기장역, 서구청역, 가정역, 가정중앙시장역 | 4 |
인천가좌관리역 | 석남역(2호선), 서부여성회관역, 인천가좌역, 가재울역 | 4 |
주안관리역 | 주안국가산단역, 주안역, 시민공원역, 석바위시장역 | 4 |
2호선시청관리역 | 인천시청역(2호선), 석천사거리역, 모래내시장역, 만수역 | 4 |
인천대공원관리역 | 남동구청역, 인천대공원역, 운연역 | 3 |
7호선운영센터 | ||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 삼산체육관역, 굴포천역, 부평구청역(7호선), 산곡역, 석남역(7호선) | 2 |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2010년 지방공기업 현황,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 서울교통공사-부천시 간 소송 종료 이후 운영사 변경 전까지 위탁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