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鄭東泳
정동영.jpg
인물 정보
출생 1953년 7월 27일 (70세)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국적 대한민국
학력 전주초등학교
전주북중학교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국사학 학사
웨일스대학교 저널리즘학 석사
직업 정치인
종교 개신교
정당 더불어민주당
신체 168cm
배우자 민혜경
현직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경력 MBC 뉴스데스크 주말 앵커
제15·16·18·20대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의장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
통일부장관
민주평화당 대표
웹사이트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개요[편집 | 원본 편집]

1953년 7월 27일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태어났다 MBC 기자 및 아나운서를 지냈으며 정계입문 후 4선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제2대 제6대 의장 통일부 장관 NSC 상임위원장 민주평화당 대표등을 역임한다 대표적인 경력으론 17대 대선 당시 사실상 범여권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한다.

정치 활동[편집 | 원본 편집]

1996년 1월,김대중 당시 새정치국민회의 총재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게 된다 그 해 열린 15대 총선 전주 덕진에 출마하여 당선된다 그리고 16대 총선도 같은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하는데 16대 국회 당시 천정배 신기남과 더불어 새천년민주당의 정풍운동을 이끌었다 요약하면 당시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이던 동교동계 좌장 권노갑에게 퇴진 요구를 한것이다 또 2002년 새천년민주당 대선경선에도 참가하였는데 이때 노무현이 후보로 확정될 때까지도 경선을 완주하는등의 모습을 보였다 열린우리당의 창당 이후 제2대 의장에 선출 된다 17대 총선을 이끌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젊은층의 투표를 독려하는 취지의 발언이 노인폄하 발언으로 이어지게 되며 비례대표 후보에서 사퇴하게 된다 선거결과는 열린우리당의 과반 의석 확보로 승리하였으나 예상보단 의석수가 다소 미미한 결과였다. 이후 통일부장관에 임명되며 의장직에서 물러난다.

통일부장관의 임기를 마친후 2006년 제6대 열린우리당 의장에 선출되며 지방선거를 치뤘으나 그 결과는 광역단체장 1석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 여파로 의장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2007년 제17대 대선에 출마하여 이해찬,손학규를 꺽고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로 확정된다 그러나 이명박에게 대패하며 낙선한다.

2008년 제18대 총선동작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뉴타운 열풍으로 정몽준에게 패배하여 낙선된다,그 이후 2009년 재보궐선거 때 전주시 덕진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당 김근식 후보를 상당히 크게 앞서며 70%대 득표율로 승리하여 국회에 복귀한다. 민주당에 복당후 2010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손학규에 밀린 2위로 수석최고위원에 당선된다.

2012년 민주통합당 내부엔 거물급 정치인들의 험지 출마를 요구하는 여론이 있었고 결국 제19대 총선에선 강남구 을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김종훈 후보에게 낙선한다.

낙선 이후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의 상임고문을 지내다가 2015년 1월 당내의 문제를 제기하며 탈당하고 국민모임에 합류하여 관악구 을 재보궐선거에 출마하는데 새누리당의 오신환 새정치민주연합정태호 야권무소속 정동영 3파전 양상으로 흘러갔다 여론조사 상으로도 엎치락 뒤치락 하는 양상을 보였을만큼 관심 지역구였다 만일 이때 정동영이 당선이 되었다면 정동영으로선 정치적 부활을 이끄는 분수령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20.1%를 얻으면서 3위로 낙선한다. 이때 오신환의 득표율이 43.9% 정태호의 득표율이 34.2%로 단일화만 했다면 여유롭게 이길수 있었다.

그 후 중국에서 잠시 머물다가 고향인 순창에서 지내며 감자를 심고 있었으나 2015년 12월 20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순창의 본가까지 찾아와 복당을 요청한다. 그러나 사실상 거절을 하고 국민의당에 합류한다.

국민의당에 합류하고 20대 총선 전주시 병에 출마하는데 현역 의원인 김성주 후보를 꺽고 당선된다.

2017년 8월, 국민의당 전당대회에 출마하였으나 안철수 후보가 50.1% 가까스로 과반을 살짝 넘기며 결선투표 없이 그대로 낙선한다. 그래도 전북은 싹쓸이 했다고 한다.

2018년 1월,바른정당과 합당에 반대하며 국민의당을 탈당하고 민주평화당을 창당했다 이듬해 7월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선출된다 그러나 2019년 당내갈등으로 비당권파가 탈당하며 당은 5석으로 쪼그라들게 된다.

2020년 2월,대안신당,바른미래당과 합당하여 민생당을 창당한다 그리고 20대 총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한다.

2022년 1월,이재명 당시 대선후보의 요청으로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한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을 역임하고 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6.25전쟁 휴전당일에 태어났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친분이 깊다 정동영이 대선후보 당시 이재명은 대선후보 비서실장으로 적극적으로 도왔고 이 인연으로 이재명의 성남시장 유세에 지원을 나서기도 하였다 2022년에 복당을 할수 있게 된 것도 이재명 당시 대선후보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성사된걸로 볼수있다.

선거 이력[편집 | 원본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96년 총선 15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새정치국민회의 97,858표
89.91%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초선
2000년 총선 16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새천년민주당 98,746표
88.24%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재선
2004년 총선 17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열린우리당 8,128,606표
38.26%
비례대표 22번 사퇴
2007년 대선 17대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합민주신당 6,174,681표
26.14%
2위 낙선
2008년 총선 18대 국회의원 서울 동작구 을 통합민주당 36,251표
41.50%
2위 낙선
2009년 4·29 재보궐 18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무소속 57,423표
72.27%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3선
2012년 총선 19대 국회의원 서울 강남구 을 민주통합당 48,419표
39.26%
2위 낙선
2015년 4·29 재보궐 19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무소속 15,569표
20.15%
3위 낙선
2016년 총선 20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병 국민의당 61,662표
47.72%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4선
2020년 총선 21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병 민생당 50,022표
32.04%
2위 낙선
2024년 총선 22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병 더불어민주당 117,407표
82.08%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5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