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정당 정보 | 정당이름 = 열린우리당 | 원어이름 = | 배경색 = #ffd918 | 글자색 = #06b21c | 로고 = 파일:Logo_of_the_Uri_Party.svg | 약칭 = | 대표직...)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대표 = [[정세균]]
| 대표 = [[정세균]]
| 부대표직책 = [[원내대표]]
| 부대표직책 = [[원내대표]]
| 부대표 = 장영달
| 원내대표 = 장영달
| 기타대표직책 =  
| 기타대표직책 =  
| 기타대표 =  
| 기타대표 =  
32번째 줄: 32번째 줄:


==개요==
==개요==
'''열린우리당'''은[[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다. [[새천년민주당]] 내 정당 개혁, 정치 개혁의 완수를 요구하던 개혁 세력들이 2003년 11월 11일에 결성, 창당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었다. 당시 4대 강령으로‘새롭고 깨끗한 정치실현,' ‘중산층과 서민이 잘사는 나라구현,'‘더불어 사는 따뜻한 사회건설,'‘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창했다.
'''열린우리당'''은 [[대한민국]]의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이다. [[새천년민주당]] 내 정당 개혁, 정치 개혁의 완수를 요구하던 개혁 세력들이 2003년 11월 11일에 결성, 창당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었다. 당시 4대 강령으로‘새롭고 깨끗한 정치실현,' ‘중산층과 서민이 잘사는 나라구현,'‘더불어 사는 따뜻한 사회건설,'‘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창했다.
 
===역대 중앙당 지도부===
{| class="wikitable"
|+역대 중앙당 지도부
|초대
|[[김원기]]
|-
|2대
|[[정동영]]
|-
|3대
|[[신기남]]
|-
|4대
|[[이부영]]
|-
|비대위
|[[임채정]]
|-
|5대
|[[문희상]]
|-
|비대위
|[[정세균]]
|-
|비대위
|[[유재건]]
|-
|6대
|[[정동영]]
|-
|7대
|[[김근태]]
|-
|8대
|[[정세균]]
|}
 
===역대 원내 지도부===
{| class="wikitable"
|+역대 원내 지도부
|초대
|[[김근태]]
|-
|2대
|[[천정배]]
|-
|3대
|[[정세균]]
|-
|4대
|[[김한길]]
|-
|5대
|[[장영달]]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
{{각주}}

2024년 4월 17일 (수) 17:28 기준 최신판

}}
열린우리당
[[파일:Logo of the Uri Party.svg|x75px]]
로고
이념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보수자유주의
당직자
대표 정세균
원내대표 장영달
의석
국회의원(제17대)
152 / 299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열린우리당대한민국민주당계 정당이다. 새천년민주당 내 정당 개혁, 정치 개혁의 완수를 요구하던 개혁 세력들이 2003년 11월 11일에 결성, 창당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었다. 당시 4대 강령으로‘새롭고 깨끗한 정치실현,' ‘중산층과 서민이 잘사는 나라구현,'‘더불어 사는 따뜻한 사회건설,'‘한반도 평화통일'을 주창했다.

역대 중앙당 지도부[편집 | 원본 편집]

역대 중앙당 지도부
초대 김원기
2대 정동영
3대 신기남
4대 이부영
비대위 임채정
5대 문희상
비대위 정세균
비대위 유재건
6대 정동영
7대 김근태
8대 정세균

역대 원내 지도부[편집 | 원본 편집]

역대 원내 지도부
초대 김근태
2대 천정배
3대 정세균
4대 김한길
5대 장영달

각주